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탈모약 시장서 맥못추는 제약사들

시계아이콘01분 0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미국약 '프로페시아' 특허만료 되고도 1위자리 '굳건'
-국산약 인지도ㆍ가격 경쟁력 '전략부재' 한계 드러내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박혜정 기자]먹는 탈모약 시장에 진출한 91개 국내 제약사가 단 1개의 외국사를 꺾지 못하고 고전 중이다. 인지도와 가격 경쟁력 등 두 가지 핵심 포인트를 모두 놓친 '전략부재' 탓이다.


22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미국계 제약사 MSD의 탈모약 '프로페시아'는 지난해 매출액이 193억원으로 시장점유율 70%를 기록했다. 출시 11년, 특허가 만료된 지 4년이 지났지만 시장 지배력은 강해져만 간다. 지난해 매출 성장률은 13%에 달한다.

반면 국내 제약사들의 성적표는 '처참'하다. 2006년 말 프로페시아의 물질특허가 만료된 후 국내 제약사들은 복제약을 쏟아내며 시장 공략에 나섰다. 총 91개 제약사가 제품을 내놨으니 웬만한 업체 대부분이 출사표를 던진 셈이다.


시장점유율 2위를 기록 중인 한미약품의 '피나테드' 매출액은 지난해 29억원에 불과했다. 이후 중외신약 '모나드' 17억원, 동아제약 '알로시아' 7억원, 대웅제약 '베아리모' 6억원 순이다.

91대 1의 게임에서 국내사들이 완패한 이유는 명확하다. 통상 복제약은 신약(오리지널)보다 싼 값에 팔며 경쟁력을 확보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복제약의 가격을 지나치게 비싸게 책정한 것이 경쟁력 하락의 원인이 됐다.


약국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프로페시아의 한 달 처방가격은 통상 5만~5만5000원선이다. 이에 비해 피나테드나 알로시아는 4만원 안팎, 모나드는 4만~5만원선으로 신약 대비 28% 정도 싸거나, 일부에선 비슷하다. 가격 측면에서 굳이 복제약을 구입할 이유가 없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프로페시아의 높은 인지도와 로열티(충성도)를 깨기 위한 뾰족한 전략이 없는 것도 문제다. 업계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시장실패의 원인이 무엇인지, 가격을 내리면 판매가 늘 것인지조차 판단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사들이 예상보다 저조한 실적에 어리둥절 하는 사이 프로페시아의 장악력은 더욱 커져 '속수무책'이 된 상황이다.


국내 제약사들의 실패는 소비자 입장에서도 긍정적이지 못하다. 유사한 시장구조를 가진 발기부전 치료제의 경우 국산약이 저가공세를 펼치자 비아그라, 시알리스 등 신약들이 고육지책으로 가격을 내렸던 점을 감안할 때 그렇다.


생각보다 쉬운 게임이 되자 MSD의 태도는 여유 그 자체다. 한국MSD 관계자는 "탈모약의 경우 약을 꾸준히 복용해야되는 만큼 한 번 먹던 약을 계속 이용하는 이용패턴이 영향을 주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신범수 기자 answer@
박혜정 기자 park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