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조석준 청장 "韓中日 기상·지진·경제 공동체 구축하겠다"(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조석준 기상청장(사진)은 21일 "동북아 기상· 지진·경제 공동체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조석준 청장은 지난달 9일 취임 이후 취임 후 처음으로 가진 기자 회견에서 이 같이 밝혔다.

조 청장은 이날 "동아시아 지역은 황사, 태풍, 집중 호우 등 기상 재해 유해가 비슷하지만 현재까지 기상협력이 미미한 수준"이라면서 "앞으로 한중일 3국이 협력해 기상 지진 서비스를 제공하면 사회와 경제, 산업 전반에 걸친 효과는 상상 이상이 될 것 이다"고 강조했다.


일본 대지진과 관련, "이번 일본의 경우에 유선망이 의미가 없어지는 상황도 발생했다"며 "지진이란 한 나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닐 수 있으므로 더욱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기상청은 오는 2013년까지 한·중·일 공동 기상 서비스를 추진해 통합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하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3국의 실시간 날씨를 한국어, 일어, 중국어, 영어 등 4개 국어로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통합 홈페이지에 각 국가의 레이더 자료, 위성 자료 등 을 표출한다.


아울러 올해 내로 기상과 지리정보를 결합해 DMB에 제공하는 '웨비게이이션(Weather+Navigation)'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고객 지향형 기상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트위터와 미투데이 등 뉴미디어를 이용한 지진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하기로 했다.


조 청장은 북한의 백두산 화산문제 협의 제안과 관련해서는 "초기 단계 협상 창구는 통일부"라며 "기상청은 언제라도 조율되면 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북한과 기상협력을 추진해 한반도의 지진 발생 특성과 백두산 지진활동에 관한 상호 기술 교류와 공동 연구를 진행할 계획" 있다면서 "상호 협력이 이뤄질 경우 기상 기술의 통합적 발전으로 향후 수조원의 통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진과 백두산 화산 분화에 관한 조기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지진관측망을 2020년까지 300여개로 늘려 조기경보 시간을 지난해 300초 안팎→2015년 50초 이내→2020년 10초 이내로 단축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는 "천리안 위성으로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 위험기상을 감시하고 해양기상 관측선 '기상 1호' 운영 등 기상관측 첨단화로 해상의 관측 공백을 해소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반도 기후변화의 감시 강화, 지역 상세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탄소추적 시스템 개발 등 기후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으로 녹색 성장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조 청장은 이와 함께 기상관측 선진ㆍ첨단화에도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상 선진화의 일환으로 IPTV, 케이블 TV, 기상사업자와 연계해 기상전문방송을 운영고, 기상 사업자의 유형을 확대해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물류, 항공, 건설, 등 미래 산업 수요 별 기상 정보 콘텐츠와 기상 컨설팅 등 기상서비스 산업 활용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조 청장은 아울러 "국민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기상정보의 99.9%는 무료로 제공하지만 특정 수요가 있는 정보는 수혜자 부담원칙에 따라 돈을 지불하도록 할 것"이라며 "기상산업 육성 기반을 구축하고 진흥을 위한 신규 사업도 발굴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미 기자 askm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