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세난에.."소형단지 출현·전세도 홈쇼핑상품으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유례없는 전세대란이 이어지자 정부가 전·월세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기대했던 전·월세 대책의 효과는 아직 없다. 매매는 기피하고 전세를 선호하는 현상이 강해지면서 수요에 비해 공급이 너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택시장엔 분명한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전월세 시장이 투명해지고 소형 단지의 공급이 늘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전세난이 주택 수요자들의 구매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나타난 모습이라고 진단하다.

전세난이 가져온 변화 중 가장 두드러지는 대목은 전·월세 시장의 투명성 강화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1.13 전·월세 대책의 일환으로 1월부터 아파트 입주정보를 공개 중이다. 입주정보를 통해 전세물건이 남아있는 지역과 단지 정보를 구할 수 있다. 전월세 실거래 정보도 이달 하순부터 공개된다. 이에 앞서 서울시도 전월세 실거래가격 정보를 포함해 거래사례와 가격 정보를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사이트를 통해 발표하고 있다. 이같은 서비스를 통해 세입자들이 적정한 거래 가격을 제시하고 협의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된 셈이다.


소형아파트로만 구성된 아파트 단지가 속속 출현하고 있다는 점도 전세난에서 비롯된 변화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 상반기 분양하거나 예정중인 물량 중 전용면적 85㎡이하 소형주택은 총 1만699가구로 전체 공급계획 물량의 51% 가량에 달한다. 이 중 대다수가 소형만 짓거나 소형을 80~90% 이상 공급하는 사업장이다. 실례로 부산에서 분양중인 두산건설은 두산위브포세이돈의 전체가구 90% 이상을 전용면적 70~84㎡형으로 내놨다. 앞으로 지역별로 소형 비중을 높인 주택 사업장들이 더 늘어날 것이란 게 건설업계 전망이다.

그동안 움직임이 뜸했던 부동산투자회사(REITs·리츠)의 소형주택 투자 확대도 예상되는 대목이다. 정부가 2.11 전·월세 대책을 통해 공모형 리츠 등이 투자자산의 일정비율 이상을 임대주택(기준시가 6억 이하, 149㎡이하)에 투자시 개인투자자의 배당소득의 세율을 한시적으로 인하해주는 등의 유인책을 제시한 탓이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전세난 해소를 위해 도시형생활주택 공급기준이 완화되면서 최근 1년간 인가 받은 20개 리츠 중 5곳에서 오는 2013년 상반기까지 총 1161세대의 도시형생활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도시형생활주택은 투자규모가 작고 회수기간이 짧다는 게 장점이다.


전세난 속 이색 주택 마케팅도 등장했다. 최근 CJ오쇼핑이 판매한 경기도 일산 식사지구 신축 아파트인 ‘위시티 블루밍’ 전세 상품이 대표 사례다. 또 발품을 팔아 주택을 싸게 살 수 있는 경매시장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주택 경매 입찰자가 늘고 아파트 낙찰가율도 최근 상승 추세다.


이밖에 부동산 정보업체가 내놓은 거래지원 서비스 이용자 역시 급증하고 있다. 부동산114가 지난 8일 새롭게 내놓은 ‘2Weeks 거래센터’ 서비스를 통해 부동산 거래를 신청한 건수는 620건을 넘었다. 부동산1번지가 지난 달 말부터 서비스한 새로 입주하는 아파트 전세물량의 사전예약서비스제의 이용건수도 2월 하루 평균 228건으로, 1월(106건)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