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원시, 공공관리자제 전면 도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재개발·재건축 제반 문제점 해소와 체계적 사업추진 위해

[아시아경제 김정수 기자] 경기도 수원시는 재개발 재건축의 문제점 해소와 체계적인 도시재생사업 추진을 위해 ‘공공관리자제도’를 전면 도입키로 했다.


수원시는 9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주민갈등, 시공사 선정 등 각종 문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어 공공관리자제도를 전면 도입키로 했다”고 밝혔다.

수원시는 현재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저탄소 녹색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지상공간의 녹색화 ▲친환경 주택단지 건설 ▲신재생 에너지 ▲절약형 건축물 보급등을 통해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수원시는 기존 공동주택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어린이놀이터, 경로당 등 공공 노후시설물에 대한 환경개선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수원지역에는 총 22개 사업장 중 18개 구역에서 조합이 설립된 상태다.


수원시는 전체 사업장 중 대부분이 조합을 설립함에 따라 올 하반기부터 단계적으로 이주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낙후된 구 도심권의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개발을 반대하는 주민과의 갈등, 조합운영에 대한 불만, 시공사 선정 등의 문제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수원시는 이같은 문제점 해소와 체계적인 재생사업 추진을 위해 ‘공공관리자 제도’를 전면 도입할 방침이다.


또 수원시는 공동주택 관리주체 및 입주자대표회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 입주민 스스로 살기좋은 마을을 만들 수 있도록 자치역량을 강화해 다양한 공동체 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재개발사업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전용 홈페이지’도 개설 운영되고 있다.


여기에 수원시는 시민들에게 더 다가가는 도시재생사업을 위해 주민 설명회를 수시로 개최할 계획이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주택 수급동향, 분양시장의 전망 등을 고려해 볼 때 재개발 사업에 대해 발생될 수 있는 여러가지 사회적·경제적 문제점을 예측해 대안을 마련하고자 전문기관에 용역을 실시할 계획”이라며 “용역결과를 각 조합에 제시해 시민 스스로 개발일정을 조정하고 바람직한 개발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공공의 역할을 강화해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정수 기자 kjs@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