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민경 기자, 조해수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이 25일 세계 경제 성장률을 4.4%로 높인 경제 전망치을 발표하면서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신흥국 물가상승 압박에 대한 우려와 각국 긴축정책 파장의 여파가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은 미지수다.
◆각종 지표는 회복 조짐〓 최근 발표된 각종 지표에서 세계 경제는 서서히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25일 국제통화기금(IMF)은 신흥국의 가파른 성장과 미국 경제회복세에 주목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4.4%로 지난해 10월 예상치(4.2%)보다 높여잡았다. 특히 미국 성장률을 종전보다 0.7%p 높여 3.0%로 예상했고, 신흥국가들의 경제 성장률을 6.5%로 전망하면서 한국, 브라질, 멕시코 등의 성장률도 전반적으로 올려잡았다.
미국도 각종 지표가 예상치보다 높게 나타나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뉴욕 주식시장에서는 제너럴일렉트릭, 인텔, 맥도날드 등 주요기업들의 지난해 4분기 실적 호조로 '어닝서프라이즈'를 구가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경기선행지수도 예상치보다 높은 1.0%를 기록했고, 주택매매와 부동산 가격도 지난해 11월까지 석달 연속 올랐다.
일본중앙은행(BOJ)도 오는 3월 끝나는 2010 회계연도 경제성장률 2.1%에서 3.3%로 상향조정했다. 시리카와 마사아키 일본 중앙은행(BOJ)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엔고(高)현상이 완화되고 세계 경제가 성장세를 보이면서 일본 경기가 점진적으로 둔화세를 벗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재계는 '낙관'=마켓워치가 25일 보도한 영국 회계컨설팅업체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가 69개국 세계 최고경영자(CEO) 120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48%가 향후 1년간 세계 경제가 성장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는 세계 금융위기 전인 2008년에 기록한 50%에 가까운 수치다. PwC는 매년 초 세계 CEO들을 대상으로 경기 자신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2009년 CEO들의 경기 자신감은 21%였고, 2010년에는 31%에 그쳤다.
◆'환율전쟁' 이은 '무역전쟁' 없을 것〓 국제경제의 '핫이슈'인 환율과 무역 부문에 대한 전망도 어둡지 않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26일자 '2011년 세계(The world 2011)'라는 제목의 특별판에서 환율과 무역을 둘러싼 국가 간 갈등이 무역 경쟁이 '환율전쟁'이나 '무역전쟁'으로까지 심화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이 환율을 놓고 충돌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세계 경제회복세를 방해할 정도의 상황은 아니라는 것이다.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을 피해 흘러든 투자자금으로 환율 상승을 겪은 신흥국들이 인위적으로 환율을 끌어내리는 정책을 펴고 있으나 아직 온건한 수준이다.
무역에서는 세계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반덤핑, 상계관세, 관세이상 등 전통적인 보호무역 조치들이 사라진 것도 특징이다. 대신 각국 정부는 내수부양을 위해 보조금 지급, 규제 등을 활용하고 있으나 이는 무역장벽으로 보기 힘들다. 최근 서구 대기업들은 자국에서 생산한 제품을 수출하기보다는 중국 등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현지에 직접투자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다.
◆인플레 압박과 긴축정책의 딜레마〓 IMF는 25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신흥국들의 물가상승률이 6%에 이를 것이라며, 몇몇 국가의 경기과열과 이로 인한 경착륙이 세계 경제에 타격을 줄 수도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배럴 당 100달러에 육박하는 유가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식품가격 상승도 신흥국 인플레 압박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인플레와 경기과열을 차단하기 위해 각국은 재정적자를 축소하고 금리를 인상하는 등 긴축 정책으로 돌아서는 분위기지만 그로 인한 부작용이 딜레마다.
신흥국들은 이미 단기금리 인상 등 조치에 나섰다. 그러나 핫머니 유입으로 인한 장기 경제 성장 저하에 대한 우려를 떨칠 수 없다.
서구 선진국들도 재정적차 감축이 대세다. 6000억달러의 2차 양적완화를 올 2분기까지 소화해야 하는 미국을 제외하면 영국, 독일 등은 이미 세금 인상, 복지혜택 감소 등의 정책을 시작했다. IMF와 유럽구제금융의 지원을 받은 그리스와 아일랜드를 필두로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벨기에 등도 재정적자 감축 대열에 서 있다.
그러나 각국이 동시에 긴축정책을 펴는 것의 파장은 미지수여서 세계 경제 회복을 더디게 할 수도 있다.
김민경 기자 skywalker@
조해수 기자 chs90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