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1년 '올해의 국가'는 인도네시아"

시계아이콘01분 5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조해수 기자] 2010년이 브릭스(BRICs ;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의 해였다면 올해 세계 경제를 놀래킬 국가는 어디일까?


골드만삭스 자산운용의 짐 오닐 회장은 '믹트'(MIKT ; 멕시코, 인도네시아, 한국, 터키)를 강조했고, 조지프 나이 하버드대 교수는 '빅스'(BIICs ; 브라질,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를 언급했다. 미(美) 경제 전문 사이트 비즈니스인사이더는 마빈스(MAVINS ; 멕시코, 호주, 베트남,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를, 마이클 지오건 HSBC사장은 시베츠(CIVETS ; 콜럼비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이집트,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를 지목했다.

네 용어에 모두 포함돼 있는 국가는 인도네시아가 유일하다. 넥스트 브릭스로 이미 오래전 제시됐던 '넥스트11'에 인도네시아가 포함돼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세계 경제석학을 비롯한 거의 모든 전문가들이 '2011 올해의 국가'로 인도네시아를 지목하고 있는 것이다.


인도네시아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6.1%로 예상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는 인도네시아가 올해에도 6.2%의 고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영국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전망에서 "올해 아시아 신흥국 중 인도네시아를 가장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글로벌 기업들이 인도네시아로 몰려들 것"이라고 예측했다.

더 높은 경제성장이 예상되는 중국(IMF 경제성장률 전망치 9.6%)과 인도(8.4%)를 제치고 인도네시아가 이처럼 각광받는 이유는 내수 위주의 탄탄한 경제구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 국내총생산(GDP)에서 내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60%로, 중국의 35~40%에 비해 훨씬 높다. 세계 경제는 미국을 중심으로 점진적인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미국의 부동산 시장 및 실업률ㆍ유럽 재정위기ㆍ중국의 긴축정책 등 불안요소가 산재해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는 해외 의존도가 낮기 때문에 견조한 상승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가 한창인 2009년에도 4.5%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다.


인도네시아의 인구는 2억4000만명으로 세계 4위 수준인데 반해 자동차를 비롯한 소비재의 보급률이 매우 낮다는 점 역시 인도네시아를 주목하게 만드는 이유다.


인도네시아 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내수 자동차 판매량은 69만여대로 전년동기 대비 60% 증가하며 태국으로부터 동남아 최대 자동차 시장 타이틀을 처음으로 빼앗아 왔다. 자동차 시장은 올해에도 두자릿수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산층이 급증하고 있지만 대출 수준은 매우 낮기 때문에 민간대출 증가로 인한 소비시장의 폭발적 성장 역시 기대된다. 이코노미스트인텔리전스유닛(EIU)은 2014년까지 연소득 5000만달러 이상의 가구 수가 전체의 6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현재 GDP 대비 대출 비율은 25%선에 그치고 있다.


소비재 업종이 인도네시아 전체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7%에 이르고 있기 때문에 올해 증시 전망 역시 밝다. 지난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종합지수는 약 44% 급등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친도네시아(Chindonesia =중국(China)+인도(India))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최근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원자재 가격 역시 인도네시아 증시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인도네시아는 전통적으로 원자재 강국으로서 2003~2007년 동안 증시를 이끌어 온 업종 역시 광산ㆍ농업ㆍ부동산 업종이었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경제적ㆍ정치적 노력 역시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대통령은 2014년까지 도로와 항만, 공항 등 사회 인프라 건설에 1400억달러를 투입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노력에 힘입어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푸어스(S&P)는 인도네시아 신용등급을 BB-에서 BB로, 피치는 BB에서 BB+로, 무디스는 등급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조정했다.


그러나 환율 급등은 인도네시아 경제의 최대 복병이다. 루피아화(인도네시아 통화)의 가치 상승은 수출 저해 요인으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핫머니의 유입을 촉발, 불안정성을 증대시킨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은 지난해 8월부터 상대적으로 긴 단기채를 발행키로 했으며, 7월부터는 단기채 투자자들이 최소 1개월을 보유한 후 되팔 수 있도록 했다.


고질적인 부패 역시 문제다. 국제투명성기구(TI)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청렴도는 우간다나 에티오피아와 비슷한 126권에 머물렀다. 지난해 10월에는 센추리 은행의 구제금융이 불법이며, 구제금융 자금의 일부가 정치자금으로 빼돌려졌다는 의혹이 제기돼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




조해수 기자 chs90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