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기습 금리인상… "국내 영향은 제한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내년 초 추가 인상 가능성도

[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지난 성탄절, 중국 인민은행이 두 달 만에 기준금리를 전격 인상했다. 내년도 통화정책 기조를 '적절하게 느슨한'에서 '신중한'으로 바꾸겠다던 말을 실천에 옮긴 셈이다. 중국은 올들어 여섯 차례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올려 통화량을 조절했지만, 이것만으로는 가파른 물가 오름세를 잠재울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인민은행은 25일 오후 홈페이지를 통해 "26일부터 1년 만기 예금과 대출의 금리를 0.25%씩 올린다"고 공표했다. 1년 만기 예금금리는 2.75%로, 대출금리는 5.81%로 조정됐다.

지난 10월, 금융위기 이후(2008년 9월) 처음 기준금리를 올린 중국이 불과 두 달 만에 다시 금리인상 카드를 꺼내든 건 무섭게 오르는 물가 때문이다. 요사이 중국은 부동산 시장 과열과 대출 및 통화량 급증, 농산물과 상품 가격 급등에 골치를 썩고 있다. 지난 6월 2.9% 수준이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월 3.5%, 10월 4.4%를 넘어 지난 달
5.1%까지 급등했다. 중국 당국이 관리 목표로 삼은 3.0%를 2.0%포인트 이상 웃도는 수준이다.


여기에 성탄절부터 춘절까지 이어지는 연말연시, 물가상승률이 6.0%에 이르러 상투를 쥘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자 중국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물가 불안이 사회 갈등을 더욱 키울 수 있다는 분석도 금리인상을 부추겼다. 경제 성장 속도는 눈부시지만 그만큼 빈부격차 문제도 심화돼 저소득층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어서다.

그렇다면, 중국의 금리 인상이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은 어떨까. 대다수 민관 전문가들은 "제한적이다"에 한 표를 던졌다.


기획재정부 윤종원 경제정책국장은 "중국은 지금 통화량은 줄이고, 재정은 확장하면서 거시경제정책을 펴고 있다"며 "금리 인상으로 중국의 내수가 위축돼 우리의 수출에 일부 영향을 받을 수는 있겠지만, 성장을 포기한 것도 아니고, 중국의 내년 성장률도 여전히 9%를 넘을 것으로 보여 국내 경제에 당장 악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SK증권 최성락 애널리스트도 "중국이 예금금리를 올렸지만, 인상한 금리도 실질 기준으로는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이어서 금리 인상이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다만 "향후 중국 경제의 경착륙 리스크는 여전히 중기 위험 요인으로 살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연미 기자 chang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