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윤재 기자] 고용시장, 주택시장, 지방정부 재정이 미국 경제의 3대 리스크요인으로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17일 삼성경제연구소는 ‘미국경제 회복의 관건:민간부문 소비여력 확충’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미국 경제가 3대 리스크로 인해 내년까지 경기 회복 가능성이 60%에 그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민간부문의 소비 진작을 위한 지원 규모가 2조3000억달러 미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미국경제의 조기 회복은 지연되거나 불가능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지원규모가 2조3000억달러에서 2조6000억달러 내외일 경우에는 회복가능성이 60%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어 지원규모가 3조달러를 넘어설 경우 성장이 탄력을 받고 인플레이션 우려도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고용시장 부진과 주택시장의 먹구름이 확산되고 있고, 지방정부의 재정난이 심각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미국의 7월 실업률은 9.5%로 지난해말 10%에서 다소 하락했지만 회복은 현저히 둔화됐다. 또 5월 미국 주택시장은 생애 첫 주택매입 세제 혜택 종료 등으로 신규주택(전월비 -32.7%)과 기존주택(전월비 -2.2%) 판매량이 모두 줄어들었다. 고실업과 저소비는 소득세와 판매세에 기반한 지방 정부 세수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면서 지방재정 악화도 가져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미국 경제의 회복지연으로 글로벌 금융 및 통상 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경제의 더블 딥 또는 침체의 지속 가능성은 유럽 경제와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경제의 성장 둔화를 촉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가계부채 해소 방안과 함께 기업과 금융기관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해 미래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등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이윤재 기자 gal-ru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