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멈춰선 Big프로젝트] 판교알파돔시티. 광교비즈파크

[아시아경제 김정수 기자] 2기신도시의 대형 PF사업들이 줄줄이 멈춰서고 있다.


그나마 진행되던 사업마저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좌초위기에 놓이는가 하면 사업자 선정조차 못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부동산 시장이 호황을 맞던 2006~2007년 당시 추진된 공모형 PF사업은 전국적으로 40여곳에 이른다. 사업비만도 120조원에 이르는 실정이다. 그러나 미국 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기 시작하면서 상황은 크게 바뀌었다.


◇판교 알파돔시티, 좌초 위기 = 판교 알파돔시티 사업은 판교신도시 중심상업용지 14만2150㎡ 부지에 주거, 상업, 업무시설이 혼합된 복합단지를 짓는 것으로, 총 사업비가 약 5조원에 달하는 LH가 추진하는 민.관 합동 공모형PF사업이다.

판교알파돔시티는 대한지방행정공제회를 비롯한 16개 민간 컨소시엄이 사업자로 선정됐다. 사업의 지분율은 대한지방행정공제회가 25%로 가장 많고, LH(19.0%), 롯데건설(11.5%), 풍성주택(5.0%), 산업은행(4.0%) 등이 출자사로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판교 알파돔시티 건설사업은 좌초 위기에 놓였다. 판교 알파돔시티 개발권자인 알파돔시티PFV가 자금조달을 하지 못하고 있어서다.


판교신도시의 유명세를 타고 높은 수익률을 낼 것으로 기대했던 알파돔시티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과 마찬가지로 2008년말 불어닥친 글로벌 금융위기에 직격탄을 맞았다.


알파돔시티는 총 2조5580억원의 토지대금 중 5차 중도금 2124억원을 지난 12일 LH에 내야 했지만 미납했고, LH의 토지중도금반환채권을 담보로 조달한 1~4차 중도금 4300억원도 갚지 못하고 있다.


알파돔시티가 자금조달 방안을 마련하지 못할 경우 LH는 토지계약을 해지할 수밖에 없고 이럴 경우 사업은 공중분해된다.


이에 따라 LH는 일단 45일간의 중도금 납부 유예기간을 주되 이 기간에도 중도금이 입금되지 않으면 계약을 해지한다는 방침이다.


알파돔시티는 내년 개통 예정인 신분당선 판교역에 들어서며 복합단지로 주상복합아파트(23만1000㎡), 상업시설(52만8000㎡), 업무시설(46만2000㎡), 호텔(6만6000㎡)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광교 비즈니스파크, 2차례 유찰 후 재공모 나서 = 광교신도시 원천호수공원 앞에 들어서는 비즈니스파크 건설사업은 3조원대 대형 PF사업이다.


경기도시공사는 광교 비즈니스파크 사업 추진을 위해 지난 2008년 사업자 공모에 나섰지만 단 한곳도 공모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무위로 끝났다.


이후 경기도시공사는 지난해 11월 대기업 본사 유치 의무를 선택사항으로 바꾸고 50층 이상 랜드마크빌딩 건립 의무도 없애는 등 사업조건을 대폭 완화하고 광교 비즈니스파크 민간사업자 재공모에 나선 결과 그레코·밀레니엄빌더·승주 알앤디 등 3개 민간사업자가 참가 의향서를 제출했다.


경기도시공사는 이들로부터 세부 사업계획서를 접수받은 뒤 우선협상대상자로 밀레니엄빌더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하지만 ‘밀레니엄빌더 컨소시엄’는 준비서류 미비와 자족성 결여로 지난 2월 24일 우선협상대상자에서 최종 무효 처리됐다.


이에 경기도시공사는 비즈니스파크를 필지분할 후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그러나 경기도시공사는 도시미관과 수도권 남부의 비즈니스 허브 구축을 위한 통합개발 등 당초사업 목표를 유지하기 위해 필지분할매각을 포기하고 조건을 대폭 완화해 광교비즈니시파크 민간사업자 공모방식을 지난 5월 7일 공고했다.


공고내용에 따르면 참여폭을 넓히기 위해 단독 또는 컨소시엄이 참여할 수 있다. 또 개발지연배상금도 100%에서 80%이상 개발하면 배상금을 면제받을 수 도록 완화됐다.


공사는 또 용도구성 및 비율도 업무용도는 비주거용도의 40%이상으로 하고 오피스텔은 비주거용도의 40% 미만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완화했다.


이한준 경기도시공사 사장은 “비즈니스파크는 입지조건이 뛰어나 개별매각을 요청하는 수요가 있지만, 본래 목적 달성을 위해 민간사업자 공모방식으로 공고를 추진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시공사는 8월 13일 사업신청 접수를 거쳐 8월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방침이다.


김정수 기자 kjs@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