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韓·日 이통사, 모바일 결제 시장 주도권 선점 나서

SK텔레콤-KDDI-소프트뱅크 양해각서 체결

[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한국과 일본 이동통신사들이 모바일 결제 시장을 선점하게 위해 손을 잡았다. 모바일 결제서비스와 모바일 쿠폰 서비스 등을 두 나라에서 모두 이용 가능한 환경을 구축한다.


SK텔레콤(대표 정만원)은 15일 일본 2, 3위 이동통신사 KDDI, 소프트뱅크와 함께 '한·일 모바일 페이먼트 서비스 제휴'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3개 이통사는 모바일 결제서비스와 쿠폰 서비스 등을 한국, 일본에서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한국과 일본에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던 사람들이 상대국을 방문할때 사용하던 휴대폰을 그대로 이용해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한국과 일본은 서로 독자 방식으로 모바일 결제 방식을 도입해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심(USIM) 기반의 콤비카드 방식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도입해 교통결제, 쿠폰 및 멤버십 할인 결제 서비스 등을 제공해왔다. 콤비카드 방식은 단말기 내 별도 장치 없이 유심칩에 전자태그(RFID)를 적용해 유심카드만으로 결제가 가능한 방식이다.

일본은 펠리카(FeliCa) 방식을 이용해 신용카드, 쿠폰, 멤버십 및 교통결제 서비스를 제공중이다. 펠리카 방식은 소니와 NTT도코모가 공동 투자해 개발한 무선(RF) 기술을 채택한 모바일 결제 방식이다. 유심칩과는 별도로 펠리카칩을 단말기에 기본 내장해 단말기를 구매하면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펠리카는 지난 2004년 7월경 NTT도코모를 시작으로 KDDI, 소프트뱅크 모바일 등에서 모바일 결제, 쿠폰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와 일본은 이번 MOU를 통해 지금까지 사용하던 콤비카드와 펠리카 방식 외에 국제 규격인 근거리통신기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적용한 모바일 결제 및 쿠폰 서비스 등 개발에 공동 협력키로 했다.


NFC는 RFID 기술이 적용된 별도의 NFC 칩을 단말기에 기본 장착해 전용 리더기로 결제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NFC 방식으로 결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NFC 리더기가 필요하다. 한국의 경우 기존 보급된 2만5000여개의 콤비카드 리더기와 호환된다. 일본의 경우 NFC 기능을 갖춘 리더기가 아직 수백대 수준에 그치고 있어 앞으로 추가 설치가 계속 돼야 한다.


NFC 기반의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구축 완료되면, 한?일 양국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휴대폰에 내려받는 간단한 절차만으로 모바일 결제가 가능하게 된다. 모바일 쿠폰, 멤버십, 상품권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들을 호환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이미 한국과 일본은 다른 나라에 비해 모바일 결제 기술과 인프라가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이번 한?일 이동통신사들의 모바일 페이먼트 협약은 향후 세계 모바일 결제 시장에서의 주도권 확보라는 의미도 크다.


SK텔레콤 홍성철 서비스 부문장은 "한?일 이동통신사들이 모바일 결제 시장 활성화를 위해 힘을 합쳤다는 사실은 고무적"이라며 "모바일 결제 통합 솔루션인 T스마트페이 솔루션을 일본 및 해외에 적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명진규 기자 aeo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