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최경환 "匠人이 대접받는 사회만들겠다"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실물경제부처 수장인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이 주조,금형, 용접,표면처리, 소성가공, 열처리 등 제조업의 뿌리가되는 명장 8명과 만나 장인(匠人)이 대접받는 사회가 돼야 한다면서 정부 차원에서 대대적으로 뿌리산업 육성의 해법을 찾겠다고 약속했다.


14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최 장관은 이날 6대 뿌리산업 분야 최고의 기술을 보유한 대한민국 명장(名匠) 8명을 초청, 정부 과천청사에서 간담회를 갖고 공로패를 전달했다. 최 장관은 명장들에게 "글로벌 금융위기 속에서도 보여준 독일의 놀라운 경제성장 뒤에는 세대를 넘어 이어져온 마이스터(meister,특정분야의 장인)정신이 있었다"면서 "수출로 먹고 살아야 하는 우리현실에서 장인이 제대로 대우받는 사회를 만들어야 더욱 강력한 제조업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장관은 "명장의 성공신화를 널리 홍보해 젊은 기능인들이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뿌리산업에 종사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 가겠다"고 했다.

최 장관은 이 자리에서 지난 5월 제57차 비상경제 대책회의에서 발표한 '뿌리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후속조치의 추진상황을 뿌리산업 명장에게 설명했다.정부는 명장의 기능 장려금을 2015년까지 체육올림픽 동메달 입상자 수준으로 인상(연 190만원→308만원)하고, 명장 선발 및 관리체계를 개편키로 했다. 대를 잇는 뿌리산업 명가 발굴ㆍ지원, 한ㆍ일 뿌리산업 엑스포 개최 등 뿌리산업 기업의 사기진작 및 대국민 이미지 제고를 위한 다양한 사업도 추진한다. 지경부 관계자는 "현재 뿌리산업 분야의 명장은 총 64명 수준이나, 대부분 일선현장에서 물러나 있고 현직에 종사하는 명장은 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뿌리산업 명장들의 인생역정 드라마를 언론 등에 홍보하는 등 퇴직명장을 비롯한 다양한 뿌리산업 분야의 명장을 발굴ㆍ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지경부와 중소기업청은 뿌리분야의 6대 제조기반기술을 영위하는 기업 가운데 우수기업을 대상으로 제조기반전문기업 지정제도를 신설키로 하고 후보기업 선정과 절차, 전문기업의 범위, 지원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이를 위해 6대 부문의 관련 조합및 학회와 함께 실태조사를 벌여 기업규모와 산업분야별 현황, 기술수준을 파악하고 애로사항, 기술개발 환경, 규제완화 방안 등 현장에 필요한 지원정책을 내놓을 방침이다. 이들 기업에는 기존 녹색전문기업과 부품소재전문기업제도에서 이뤄지는 ▲병역특례지정업체 추천시 가산점 ▲사업화및 경영자금지원 ▲수출보험, 해외인증, 마케팅 등 자금지원 ▲정부 정책사업에서 각종우대 등의 지원이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국방부, 병무청 등과 협의해 현재 5600여개 중소기업에서 2만 2000여명이 종사하고 있는 산업기능요원제(2012년 폐지예정)를 한시적으로 연장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한편, 이날 참석한 8명의 명장은 김후진(52, 두산DST) 배명직(49, 기야금속대표, 도금협회 회장), 조성원(54, 동아캐스팅 대표, 기능경기대회 기술위원), 주용부(70, 옹호공업사 대표), 김양호(48, 현대중공업), 고재규(55, 소닉스, 삼성전기 정년퇴임), 문성훈(56, 엠데이타 대표), 유문석(71, 포스코 정년퇴임) 등이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이경호 기자 gungho@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