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 부자되기]연수입 1억·자산 30억 돼야 '경제적 위너'

(#1) 매년 1억원을 넘게 벌고, 자산은 최소 30억원에서 50억원 이상, 수입차를 몰고 있고 서울 강남에서 거주하는50~60대 남자. 신한은행 PB센터 등과 함께 추정한 국내 1% 부자의 현주소다.


(#2) 지난해 국세청이 발간한 국세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 2008년 근로소득자 1400만명 가운데 근로소득금액 1억원 초과 고액 급여자는 전체의 0.76%인 10만6673명이었다. 2006년 8만4000여명, 2007년 9만2000여명에 이어 사상 처음으로 10만명을 넘어선 것이다.

(#3) 세계적인 투자은행 메릴린치(Merrill Lynch)는 고액순자산보유자(HNWI, high net worth individuals)를 거주주택 및 소비재를 제외하고 최소 미화 100만달러(한화로 약 12억원 내외), 울트라-HNWI(Ultra-HNWI)로 미화 3000만달러를 가진 사람으로 제시한다.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의 HNWI는 2008년 말 기준 10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아시아경제 황상욱 기자] 한국에서 1%의 부자만을 추려내기는 쉽지 않지만 앞서 여러 통계치들을 근거로 어느 정도의 추정은 가능해졌다.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대략 우리나라에서 10만명, 최대 20만명 정도를 상위 1% 부자로 꼽을 수 있다.

아시아경제신문은 이번 1% 부자 기획시리즈를 통해 우리나라의 부자가 어떤 사람인지, 어떻게 부자가 됐는지를 통해 '부자'를 재해석해보기로 했다. 그들의 삶을 들여다 봄으로써 부자를 꿈꾸는 이에게 방향을 제시하고, 그들에게도 진정한 '부자'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부자는 어떤 사람?=신한은행 PB센터와 공동으로 평균적인 부자에 대한 기준을 집계한 결과 PB들은 금융자산 30억원, 부동산 50억원 이상을 부자의 기준으로 봤다. 특히 최소 금융자산으로 10억원 이상을 굴린다면 부자로 판단했다.


PB센터에 따르면 부자들의 가장 많은 거주 형태는 일반 아파트 및 주상복합아파트였다. 가장 많은 연령대는 50~60대로 대략 60~70%를 차지했다. 30~40대 부자는 5% 내외, 70대 이상은 25%를 상회하는 정도로 분석됐다.


학력은 대학졸업 이상이 압도적이었으나 직업군은 다양했다. 국회의원, 장관 등 정치인과 금융업종 종사자가 상당수에 달했으나 특정 짓기 어려울 정도로 업종이 다양해 나누는 게 사실상 무의미했다.


◆부자의 학문적 정의?=사전적인 의미로 부자는 재물이 넉넉한 이를 뜻한다. 재물은 돈이나 그 밖의 값나가는 모든 물건을 의미하므로 빚 없이 사회생활을 영위해나갈 수 있다면 그 역시도 부자가 된다.


그러나 실제 삶에서는 그렇지 않다. 자신보다 더 많이 가진 이를 바라보며 '욕망'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결국 자신이 부자라고 쉬이 말을 꺼내지 못하며 생활 역시 '부자'보다는 '빈자'에 가깝게 된다.


국내에서 부자를 학문적으로 다룬 사실상의 첫 학자는 서울여대의 한동철 교수다. 그는 2004년 국내 최초로 부자학을 창안했고, 2007년에는 부자학회 창립 초대회장이 됐다.


한 교수 등 7명의 교수진이 공동집필한 '부자학(2009년)'에서 부자는 '경제적 승리자(Economic Winner), 사회적 지도자(Social Leader), 문화적 개발자(Cultural Developer)'라고 정의했다. 새로운 경제적 가치창조를 하고, 이것을 시장에서 판매한 후에 획득되는 이득을 보유하는 사람이 부자라는 설명이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에서 부자는 주식 시가총액의 30~40%를 보유하고 있고, 부동산의 50% 정도를 소유하고 있다고 정의했다. 한 교수 등은 대략 현금 10억원 이상에 총재산 50억원 이상을 가진 이를 부자로 구분했다.


◆부자는 나쁜 사람?=우리나라에서 부자는 나쁜 사람이라는 인식을 먼저 떠올린다. 그동안 재벌들이 보여준 부의 축적 과정이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빈부격차가 훨씬 심한 다른 나라보다 우리는 부자에게 더 배타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다. 그러나 거꾸로 부자를 욕하면서도 본인 스스로는 부자가 되고 싶어 한다. 이중적인 가치판단이다.


사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의 축적은 남성과 여성이 평등하고 개인의 능력과 교육 등이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부자라는 집단이 비판을 받아야만 할 이유는 없다. 축적과정이 올바르다면 부자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목표를 이룬 사람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과제는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의 의미다. 한때 극악한 자본가로 불리던 존 록펠러(John Davison Rockefeller)는 중년 이후부터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면서 존경받는 부자가 됐다. 철강왕 카네기, 우리나라 유한양행의 설립자 유일한씨 등도 기부를 통해 진정한 부자의 모습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는다.


무조건 돈이 넘쳐나는 부자가 되겠다는 목표보다는 어떻게 부자가 되고, 어떤 부자가 되어야겠다는 '목표'의 설정이 필요한 대목이다.

[성공투자 파트너] -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황상욱 기자 ooc@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