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계 이어 재계 사면복권 청원 목소리..삼성측은 말 아껴
$pos="C";$title="";$txt="";$size="510,735,0";$no="2008061213215722376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경제 우경희 기자]체육계에 이어 재계에서도 이건희 전 삼성회장의 사면복권을 청원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치권이 이에 화답해 성탄절을 기해 이 전 회장을 포함한 경제인 사면복권이 단행될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전 회장은 지난 8월 삼성SDS 신주인수권부사채를 저가발행한 혐의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의 형이 확정됐었다. 그는 이후 사실상 칩거상태로 자숙에 들어갔으며 최근 쟁점이 되고 있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 자격도 반납했다.
체육계가 먼저 움직였다.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를 위해 이 전 회장의 경륜과 IOC 내에서의 영향력이 절실히 필요한 김진선 강원도지사(유치위원회 공동위원장) 등이 지난 17일 이 전 회장의 사면복권을 정부에 정식으로 요청키로 했다. 이어서 조양호 공동위원장 역시 19일 기자회견을 갖고 "이건희 위원의 조속한 활동 재개가 절실하다"고 나섰다.
이튿날에는 손경식 대한상의 회장이 기자들과 만나 "동계올림픽 뿐 아니라 국가경제를 위해 이 전 회장이 연내 사면받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체육계 뿐 아니라 재계 전반의 분위기를 전한 셈이다. 재계는 이 전 회장 퇴진 이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삼성의 리더십 부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이 전 회장의 복권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지난해 미국발 금융난으로 촉발된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 국가경제를 제대로 단속하기 위해서는 이 전 회장 등 재계 원로들의 왕성한 활동이 절실한 상황이다.
재계는 이전에 단행됐던 재벌 총수들의 사면복권 사례를 들어 이 전 회장의 복권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지난해 5월과 6월에 각각 대법원 형이 확정됐던 최태원 SK회장과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은 형이 확정된 2~3개월 후인 8월에 광복절 특사에 포함, 사면복권됐다. 그 전해에는 설 특사를 통해 박용성 전 두산그룹 회장이 사면복권됐다. 이 전 회장이 형을 확정받은 것은 지난 8월이다. 이상의 사례와 비교하면 이 전 회장의 사면복권 논의가 이른 것은 아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재계에 비우호적이었던 참여정부시절에도 시급한 경영사안이 산적했음을 감안해 2~3개월만에 경제인 사면복권이 이뤄졌었는데 오히려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천명한 실용정부에서 올림픽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앞두고도 이 전 회장의 사면복권을 미루고 있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정부가 부담스러워 하고 있는 국민의 비난 여론은 이 전 회장과 정부의 올림픽 유치 노력으로 극복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사면복권 논의가 구체화되는 가운데 삼성은 입을 꾹 다물고 있다. 사면복권 이전에 구체화됐던 오너십 복귀 문제로 인해 시민단체로부터 뭇매를 맞은지라입장 표명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올림픽 유치 가능성이 높지 않은 가운데 '이 전 회장 사면복권 = 올림픽 유치'라는 식의 분위기도 못내 부담스럽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우경희 기자 khwo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