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개발원 보고서…저출산 1위 부산 중구, 2위 서울 강남구
[아시아경제 장용석 기자] 우리나라의 대도시 지역은 저출산 대책을, 농촌 지역은 인구유출 방지 대책을 적극 실시하는 등 인구 정책의 지역별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통계청 산하 통계개발원이 11일 발표한 '한국의 차별 출산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0~2007년 전국의 시·군·구별 합계출산율(여성 1인이 가임기간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을 분석한 결과, 하위 30개 지역 중 21개 대도시의 구(區)가 지속적으로 30위권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부산 등 인구가 집중돼 있는 대도시 지역의 저출산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pos="C";$title="";$txt="(자료: 통계청)";$size="500,101,0";$no="2009101110291871018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이들 지역은 미혼율이 높고 기혼 여성의 출산율이 낮았다. 서울(12.5%)과 부산(8.9%)의 35~39세 여성 미혼율은 전국 평균 7.2%보다 높았고, 기혼 여성의 평균 출생아수(기혼 여성이 조사 시점까지 낳은 누적 자녀수)도 서울(1.75명), 경기(1.77명), 인천(1.81명) 순으로 적고, 전남(2.38명)이 가장 많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대도시 지역의 경우 인구가 많아서 전체 출산력에 대한 영향은 크지만 출산율은 다른 지역보다 낮아 적극적인 출산 정책을 통해 출산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이 관계자는 "군(郡) 지역은 상대적으로 출산력이 높으나 인구유출이 이뤄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pos="C";$title="";$txt="(자료: 통계청)";$size="500,67,0";$no="2009101110291871018_2.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이와 함께 보고서는 주출산 연령대의 급격한 미혼율 증가를 저출산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각각 10.5%와 4.1%였던 30~34세 및 35~39세 미혼 여성 비율은 2005년에 각각 19.0%와 7.6%로 5년 만에 2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25~29세 여성의 미혼율도 같은 기간 39.7%에서 59.1%로 늘어났다.
이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미혼율이 지속적으로 늘면서 기혼 여성의 출산율 조절만으로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pos="C";$title="";$txt="(자료: 통계청)";$size="500,90,0";$no="2009101110291871018_3.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이런 가운데, 여성의 교육수준 및 직업별 출산율은 점차 '하향평준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종사상 지위별로는 비임금 근로자보다 임금 근로자의 평균 출생아 수가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완결출산력을 보이는 40대 이후 여성의 경우, 교육수준별 출산율 차이가 감소하면서 40~44세에선 출생아수의 차이가 미미해졌다"며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혼인연령이 높아지고 출산이 지연되는 경향이 있지만, 생애 총 출생아 수는 교육수준별로 차이가 크지 않다"고 밝혔다.
"출산력 감소의 원인을 더 이상 여성의 고학력화로 설명하기가 어려워졌다"는 지적이다.
$pos="C";$title="";$txt="(자료: 통계청)";$size="500,100,0";$no="2009101110291871018_4.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울러 직업별로도, 출산력이 가장 낮은 관리·전문직 여성과 다른 직업과의 차이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종사상 지위별로는 여성 임금근로자의 평균 출생아수가 1.75명으로 가장 적었고, 무급가족종사자가 2.30명으로 가장 많았다.
$pos="C";$title="";$txt="(자료: 통계청)";$size="500,61,0";$no="2009101110291871018_5.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그러나 주출산 연령층인 40세 미만의 여성에선 가사 등에 종사하는 비경제활동인구보다 취업자의 출생아수가 적었지만, 40대 이후엔 취업자의 출생아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실업자의 출생아수는 전 연령층에서 취업자나 비경제활동인구보다 적게 나타나 "경제적인 안정이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줬다.
$pos="C";$title="";$txt="(자료: 통계청)";$size="500,114,0";$no="2009101110291871018_6.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이밖에 지난 2000~2007년 사이 다(多)자녀 비율은 큰 변동이 없었으나, 두 자녀 비율은 감소하고 한 자녀 비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자녀 비율은 2000년 45.3%에서 2007년 51.2%로 늘었고, 두 자녀 비율은 같은 기간 41.6%에서 36.5%%로 줄어들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두 자녀 비율의 감소가 출산력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pos="C";$title="";$txt="(자료: 통계청)";$size="500,95,0";$no="2009101110291871018_7.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한편 남아선호가 출산율 상승에 미치는 영향력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다자녀 가구 중 여아 2명에서 추가로 남아를 낳은 가구비율은 45~49세 48.9%, 35~39세 34.6%, 25~29세 21.6% 등의 순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