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업들 '금융인 모시기' 바람 솔솔~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블루칼라 노는 곳에 화이트칼라 물든다?'


금융권 출신 인사가 줄줄이 산업계로 둥지를 옮기고 있다. 재무, 회계, 인수ㆍ합병(M&A) 등 금융 분야 전문성을 지닌 '인재 모시기' 경쟁이 확산될 조짐이다.

특히 내년엔 M&A 큰 장이 열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융권 인재 사냥에 기업들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실무적인 배경 외에도 금융권과의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경영 전략 차원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7일 산업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한전선은 최근 신설된 경영전략본부장에 문석록 부사장을 신규로 영입했다. 문 부사장은 지난 1975년 한국상업은행을 시작으로 호주 웨스트팩 은행, 노무라증권 시드니 및 홍콩 지점 M&A 팀장, 삼성생명 해외투자 및 M&A 팀장 등 오랜 기간 금융권에 재직했다.

파격 인사를 단행해 화제가 된 매일유업도 김선희 전무를 재경본부장에 앉혔다. 김 전무는 크레디아그리콜은행 수석 애널리스트와 씨티은행, UBS AG 이사를 지낸 금융 전문가다.


SK그룹은 청와대에서 파견 근무 중이던 박영춘 전 금융위원회 국장을 전격 스카우트했다. 그룹 지주회사인 SK㈜에서 업무를 시작한 박 전 국장은 금융위 주요 보직인 금융정책과장 등을 거친 금융 '통(通)'으로 유명하다. 이를 두고 재계에선 SK가 향후 금융 부문을 주력 사업으로 키우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란 공통된 목소리를 냈다.


금호아시아나그룹도 올 상반기께 금융권 출신 황선복 전무를 최고재무관리자(CFO)로 택했다. 황 전무는 지난 1975년부터 2002년까지 산업은행에서 종합기획부, 경영전략부, 비서실장 등을 지냈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금융과 관련한 현안이 상대적으로 많은 건설 업계에서도 금융권 인재 영입에 열을 올리고 있다. 올 들어 몇몇 건설사가 국민은행 부행장과 산업은행 및 대우증권, 신한은행 출신을 사장으로 선임했다.


중견 기업 움직임도 비슷하다. 아주그룹은 지난 6월 김학주 전 신한은행 부행장을 계열사인 아주캐피탈 재무ㆍ채권 총괄 부사장으로 영입했다. 이는 신한은행과 2대 주주 이상의 유기적인 관계뿐 아니라 재무적 역량 강화, 제1금융권의 리스크 관리 노하우 전수 등 아주캐피탈이 초우량 금융기관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베넥스 인베스트먼트는 KTB투자증권에서 10년간 근무했던 최창해 씨를 지난달 부사장으로 영입했다. 최 부사장은 사모펀드(PEF)유치를 장기로 하던 인물. 회사 측은 금융권에서 PEF 투자 전문가 4명을 추가로 뽑을 예정이다. M&A 경쟁을 염두에 둔 행보다.


이 외에도 금융권에서 근무한 전문가 영입을 모색 중인 기업들이 많다. 모 그룹 고위 관계자는 "제조업을 주로 영위하는 기업들이 점점 금융업 진출의 길을 찾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며 "이는 업종 간 장벽이 큰 의미가 없어졌음을 뜻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어 "M&A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적자생존의 시대가 열린 데다 금융 분야 전문가를 영입함으로써 얻는 플러스 효과가 분명히 있기 때문"이라며 "금융권 엘리트를 모셔오기 위한 물밑 작업이 여러 곳에서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