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포스코, 동유럽 철강시장 공략나서

우크라 최대 철강사와 포괄적 협력 위한 MOU체결
유센코 대통령 및 총리 만나 적극적 협력 의사 확인
CIS·동유럽 자원개발 및 철강사업 강화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포스코가 해외진출 사각 지대였던 유럽시장 공략에 적극 나선다.

유럽은 자동차 전자 등 국내 기업이 활발히 진출해 있지만 포스코는 현지 요충지를 마련하지 못해 미주, 아시아 지역에 비해 사업이 저조했다.


포스코는 카자흐스탄과 우크라이나를 포함한 동유럽 지역에 대한 자원개발과 철강사업에 본격 진출하는 한편 향후 결과가 좋을 경우 고로 건설도 추진키로 했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에프에서 현지 최대 철강사인 메틴베스트 홀딩스와 '원료 및 철강분야의 포괄적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정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백승관 포스코 투자사업실 상무와 이고르 시리 메틴베스트 CEO가 각각 서명했다.


MOU에 따르면 양사는 동유럽 및 우크라이나를 포함한 독립국가연합(CIS) 지역에서 철강 및 광산분야 사업기회를 공동 모색하고, 기술 및 경영정보 등을 교류키로 했다.


체결식에 앞서 정 회장은 빅토르 유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율리아 티모셴코 총리를 차례로 만나 적극적인 협력 의사도 확인했다.


정 회장은 대통령 및 총리와의 면담자리에서 "포스코의 철강 및 원료 합작사업을, 포스코 건설이 자원 및 플랜트, 인프라 개발에 참여하는 등 범 포스코 차원에서 투자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유센코 대통령은 "한국과 우크라이나간 협력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포스코가 더욱 적극적으로 검토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으며, 티모셴코 총리도 "앞으로 유로(EURO) 2012 개최를 앞두고 우크라이나의 사회간접자본(SOC) 구축 및 축구장건설, 정유 및 가스전 개발 등에 포스코와 포스코건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준다면 우크라이나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이번 MOU로 풍부한 철광석과 석탄을 보유한 우크라이나에 철강 상공정 협력기회를 마련해 향후 수요성장 잠재력이 풍부한 동·서유럽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우크라이나는 철광석 매장량 세계 1위, 석탄 매장량 세계 6위의 자원 부국이자 세계 8위의 철강 생산국가로 구 소련시대의 설비를 개선하기 위한 투자가 필요해 포스코의 자본과 기술력이 더해지면 최고의 시너지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메틴베스트 홀딩스는 우크라이나 최대 철강업체로 3개의 제철소와 강관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국 내 조강생산량의 26%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자체 보유한 철광석 광산은 자국 생산량의 50%를 생산하고 있다.

채명석 기자 oricm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채명석 기자 oricms@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