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나로호 '절반의 성공'을 채우려면

25일 오후 5시 9분, 나로우주센터의 발사지휘센터에서는 우레와 같은 박수가 터져나왔다. 로켓과 위성이 분리되는 순간에 터져나온 박수소리는 나로호 발사때의 굉음처럼 크게 들렸다. 이날 발사통제동에서는 한승수 국무총리와 정세균 민주당 대표를 비롯해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오명 전 과학기술 부총리 등이 나로호 발사를 참관하면서 환호와 박수로 기쁨을 나눴다.


하지만 한시간 뒤 과학기술위성 2호가 목표 궤도에 진입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환호는 순식간에 탄식으로 바뀌었다. 7년동안 나로호 발사에 매달려온 연구원들의 실망과 한숨소리가 아픔으로 다가왔다.

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1)' 발사는 이렇게 '절반의 성공'만을 남긴 채 마무리됐다. 일각에서는 벌써부터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는 상황이다. 러시아측은 자국의 발사체 1단은 성공한 것이라며 일찌감치 책임 회피에 나서는 모습이다. '나로호' 개발에 투입된 5000여억원이 공중으로 날라가버렸다는 자극적인 비난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이번 나로호 발사는 '절반의 실패' 보다는 오히려 '절반의 성공'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비록 과학기술위성 2호를 목표궤도에 진입시키지 못했지만 이번 나로호 발사를 통해 값진 경험과 로켓관련 기술을 체득할 수 있었다. 인공위성 발사 기술 전반에 대한 기술과 노하우뿐 아니라 발사 전과정을 운용해 본 소중한 경험도 얻었다. 이는 당장 내년 5월로 예정된 나로호 2차 발사의 성공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또한 2018년을 목표로 개발을 진행중인 순수 자력 발사체 'KSLV-2' 개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주개발의 어려움과 철저한 준비의 필요성을 동시에 절감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나로호'는 25일 발사까지 이미 일곱차례나 연기된 바 있다. 연기를 거듭할 때마다 문제점이 지적되고 러시아와의 공조 등이 도마위에 올랐다. 발사를 주관하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도 연기 사태가 이어지자 가장 과학적이고 기술적인 판단에 의해 이뤄져야 할 발사 일정을 놓고 조바심을 내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우주발사체는 초고압, 극저온 등의 극한 기술과 하드웨어뿐 아니라 소프트웨어가 함께 완벽히 작동해야 성공할 수 있는 최첨단기술의 복합체다. 아주 작은 문제라도 제대로 점검하지 않으면 그대로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2003년 2월 발사 후 텍사스주 상공 70㎞ 높이에서 폭발한 미국의 컬럼비아호는 2년 동안 18차례 발사가 연기되면서 일정에 쫓겨 사소한 문제를 제대로 챙기지 못해 대형사고로 이어진 경우다.


절반의 성공에 만족하거나 절반의 실패에 좌절할 시간도 없다. 2010년 5월 다시 이뤄질 '나로호 2차 발사'에서는 성공의 함성만이 남기를 기대해 본다.

나로우주센터(고흥)=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