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백두산 호랑이 등장에 난리난 中 시골마을…주민 물고 달아나

시계아이콘01분 3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주민 대피령 내린 당국, 포획 작전 나서
개체 수 늘면서 민가 덮치는 일 잦아

중국 동북 지역에서 백두산 호랑이가 마을로 내려와 주민 1명을 물고 달아나는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 18일 중국 헤이룽장일보 등 현지 매체는 헤이룽장성 치타이허시 보리현 관할의 지싱 조선족·만족향에 내려온 백두산 호랑이 1마리가 65세의 마을 주민의 왼팔을 물고 달아났다고 보도했다.

백두산 호랑이 등장에 난리난 中 시골마을…주민 물고 달아나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픽사베이
AD

현재 이 주민은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으며 다행히 생명에는 큰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사고와 관련해 보리현 임업초업국은 "이날 오전 6시쯤 지싱향 창타이촌에서 호랑이가 발견됐다는 신고를 접수했다"며 "주민 1명이 호랑이에게 물려 의료기관에서 치료받고 있으며 현재 상황은 안정적"이라고 밝혔다. 당시 호랑이를 발견한 주민은 호랑이가 신기해 구경하다 철문을 덮친 호랑이에 큰 사고를 당할 뻔하기도 했다. 철문을 덮쳤다 흥분한 호랑이가 다른 곳으로 내달렸기 망정이지, 부서진 틈을 비집고 들어와 인명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백두산 호랑이 등장에 난리난 中 시골마을…주민 물고 달아나 당시 가장 먼저 호랑이를 발견한 주민은 호랑이를 구경하다 철문을 덮친 호랑이에 큰 사고를 당할 뻔하기도 했다. 철문을 덮쳤다 흥분한 호랑이가 다른 곳으로 내달렸기 망정이지, 부서진 틈을 비집고 들어와 인명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연합뉴스TV

임업초업국은 "관계 당국이 관할지역에 도착해 호랑이의 행방을 추적하고 있다"며 "인접 주민은 대형 야생 동물의 흔적을 발견할 경우 적시에 위험을 피해야 한다"고 했다. 관계 당국이 적외선 카메라, 드론 등을 동원해 호랑이의 흔적을 찾고 있다고 현지 언론은 설명했다. 다만 호랑이가 해당 마을을 떠났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고 했다.


앞서 2021년 4월에도 이 지역에서 호랑이가 농민을 공격한 뒤, 10시간 만에 생포되기도 했다. 그해 10월 중국 당국은 멸종위기에 있는 백두산 호랑이를 보존하기 위해 동북 지역에 서울 면적의 23배에 달하는 헤이룽장과 지린성 일대를 국가공원(국립공원)으로 정식 지정하기도 했다.

그 많던 한반도 호랑이는 다 어디로 갔을까?

시베리아 호랑이·동북 호랑이로 불리는 백두산 호랑이는 북한과 중국 동북 지역, 만주, 러시아 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겨울철 먹이가 부족한 백두산 호랑이가 민가로 내려와 사람을 공격하는 사건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 가운데, 대한민국에서 호랑이는 멸종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도 산에서 호랑이를 봤다는 목격담과 증언은 수없이 나오고 있지만, 구체적인 증거가 되는 사진이나 자료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호랑이와 관련한 가장 마지막 기록은 85년 전인 1921년 고종 재위 시절 경복궁 안에 호랑이가 나타나 수백 명의 군사를 동원했다는 기록이다. 당시 한반도에는 궁궐까지 침범할 정도로 호랑이가 넘쳐났다.


동물생태계 먹이사슬의 최정점에 있는 호랑이는 20세기 초까지만 하더라도 한반도의 90% 이상 되는 산악지역에 엄청난 수의 초식동물과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 분포 등으로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고 전한다. 조선 시대엔 호랑이가 서울 사대문 안에서도 자주 목격됐다. 그렇게 많던 호랑이는 일제강점기에 들어 해로운 맹수를 제거한다는 명분 아래 수난을 당했다.



일제는 사냥꾼들에게 대대적인 사냥 허가를 내줘 호랑이나 표범, 늑대를 닥치는 대로 잡아들였다. 당시 조선총독부 기록을 보면, 1915~1942년에 이르기까지 포살된 조선의 호랑이는 전부 141마리였다. 표범의 경우는 그 수가 훨씬 많아 모두 1092마리가 사살된 것으로 기록돼 있다. 아울러 일제는 또한 한반도에 야마모토정호군(山本征虎軍)이란 대규모 원정단을 보내 호랑이를 남획하는가 하면, 호랑이 표본을 채집하겠다고 한반도 산하를 뒤지고 다녔던 미국 원정대도 있었다. 북아메리카 대륙에는 호랑이가 없어 한반도 호랑이가 미국 학자들의 종 연구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