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민 10명 중 9명 재건축 허용 30년 이내 원해

노원구, 시민 3301명 대상 서면 및 온라인, ARS 전화 설문조사 결과...전체 응답자 중 87.4%가 재건축 허용 적정 연한 30년 이내로 답변

"아파트 재건축 연한을 30년 이내로 단축해야 한다"


서울의 강북권 지역을 중심으로 재건축 연한을 단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 한 자치구가 서울시민 10명 중 9명은 현재 최장 40년인 아파트 재건축 연한을 30년 이내로 단축해야 한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같은 결과는 노원구(구청장 이노근)가 지난 3일부터 13일까지 시민 3301명을 대상으로 한 서면조사와 ARS, 온라인을 통해 실시한‘아파트 재건축 허용 연한 단축’여론조사에서 나타났다.


이 조사는 여론 조사 기관인 에이스리서치센터가 노원구 아파트 거주자 1399명을 대상으로 한 서면조사와 구 홈페이지 이용자 902명에 대한 온라인 조사 그리고 노원구 외 다른 지역 아파트 거주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ARS 조사다.

조사 결과는 서면과 온라인은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2.94%, ARS 조사는 95% 신뢰수준에 ±3.1%다.


설문항목은 모두 7개로 '재건축 적정 허용 연한' '재건축 안전진단 평가시 내진설계 반영 여부에 대한 견해'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아파트의 재건축 적정허용 연한' '아파트 시설중 가장 불편한 부분' '아파트 재건축 이유' '아파트 재건축시 입주 희망 평형' '재건축시 희망 층수'등 이다.


먼저 재건축 적정 허용 연한을 묻는 질문에 '20년'으로 하자는 의견이 30.5%로 가장 많았으며 '25년(28.8%)', '30년(28.1%)'으로 '30년 이내'로 하자는 의견이 전체 87.4%를 차지했다.


특히 30대 이하는 '20년'으로 하자는 의견이 42.6%인데 비해 60대 이상은 '30년'이 35.3%로 연령 간 시각이 달랐다.


아파트 재건축 이유를 묻는 질문엔 '설비 노후' 가 55.2%로 가장 높았으며 '주차장 부족(36.3%)', '내진 설계 미반영(30.3%)'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도 지진으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인식이 강해진 때문인지 재건축 안전진단 평가 시 내진설계 반영 여부에 대한 견해에 대한 질문엔 응답자의 87%가 안전 진단 평가 시 내진설계를 반영해야 한다고 응답해 전 연령층이 높은 반응을 보였다.


특히 80년대 지어져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강북권 지역이 압도적이었다.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아파트의 재건축 적정 허용 연한을 묻는 질문엔 47.6%가 '20년'이라고 가장 높게 응답했으며 '25년(29.9%)', '30년(16.8%)'순이었다.


특히 30대 이하 63%가 '20년'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한데 비해 60대는 30.6%가 '30년'이라고 응답, 젊은 연령층일수록 건물 안전을 중시했다.


아파트 설비 노후와 관련 아파트 시설 중 가장 불편한 부분은 '주차장 부족'이 33.1%, '상하수도 설비 노후(29.4%)', '건물 균열 등 노후(16.1%)'를 꼽았다.


아파트 재건축시 입주 희망 평형은 '40평 이하'가 50.6%로 가장 많았으며 '30평 이하(25.7%)', '50평 이하(16.9%)'가 뒤를 이었다.


그리고 재건축시 희망 층수는 '25층 이하'가 28.2%로 가장 많았으며 '35층 이하(20.6%)', '30층 이하(19%)'순이었다.


이노근 구청장은 “현재 서울시 전체 재건축 대상 아파트의 77.6%가 강남·서초·송파·강동 등 이른바 강남 4구에 집중돼 있다”며 “이는 강남지역은 과거 외환위기 때 일시적으로 재건축을 허용해 거의 마무리 됐지만 강북지역은 정부가 부동산 투기 우려를 이유로 현행 재개발 허용 연한을 40년으로 유지해 그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인 만큼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민공청회 추진 등 재건축 연한을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