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더 강하고 더 매끈하게, 포스코 신개념 차강판 첫 개발

세계 최초 강도 70% 높이고 무게 20% 줄여



포스코가 강하고 가벼우면서 미관이 매끈한 신개념 고강도 자동차 외판용 강판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포스코는 자동차 외판용 590㎫(메가파스칼)급 합금화용융아연도금강판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단위면적당(㎟) 최고 6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이 제품은 기존에 자동차 외판용으로 주로 사용해 온 340㎫급 강판에 비해 강도가 70% 이상 향상돼 기존 제품보다 강판두께를 줄이면서도 찍힘 저항성이 우수하다.

실제로 자동차 외판 중 하나인 후드(Hood)부품을 가공해 본 결과 성형성과 표면 외관이 우수했으며 강판두께를 0.7㎜에서 0.55㎜로 줄일 수 있어 동일한 양의 강판을 사용할 경우 기존 제품보다 20% 정도 가벼워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자동차용 강판은 강도를 높이면 표면 품질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면서 "이번에 개발한 제품은 강도와 외관, 무게를 동시에 구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한 제품은 포스코가 2006년 세계 최초로 양산 적용에 성공한 490㎫급 자동차 외판용 도금강판 개발에 이은 성과다. 이 제품을 자동차 외판에 적용할 경우 차체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자동차 연비 향상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친환경 차체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는 지난 2004년부터 기술연구원 자동차소재 및 가공연구그룹, 광양제철소 첨단고강도강추진반과 도금부, 자동차강판서비스그룹 등 관련부서와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자동차강판 개발과 함께 고성능 전처리 기술과 노내분위기 제어기술을 개발해 왔다.


또한 지난 2006년 광양제철소 NO.6 CGL(자동차강판 전용 용융아연도금라인)을 준공하고, 이 공장을 중심으로 높은 강도와 가공성, 우수한 표면의 자동차강판 개발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한편 포스코는 미래 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자동차용 강판 분야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자동차용 강판 수요처 지역에 도금 및 냉연공장을 짓고, 서비스 센터를 운영함으로써 수요자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타임리하게 맞추고, 기술진을 상주시켜 기술 서비스를 가장 빨리 제공하기 위한 글로벌 공급망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협력업체인 EVI(Early Vendor Involvement, 고객맞춤활동)를 통해 국내외 자동차업체와 현재 생산하는 모델 뿐만 아니라 3~5년후 개발 및 생산되는 새 모델에 대한 강판 협조체제가 밀접하게 협력할 수 있는 제체를 이뤄 나간다는 방침이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자동차용 강판은 철강기술의 꽃이며, 이를 만든다는 것은 최고 기술을 확보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우리가 역사와 기술면에서 뒤진 것이 사실이지만 지난 10년간 경쟁사가 30년 만에 이룬 것을 달성했으며, 앞으로도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채명석 기자 oricm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채명석 기자 oricms@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