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도 학업성취도 의혹...국회는 책임추궁

학업성취도 오류 파문이 임실과 대구를 거쳐 서울까지 확산되고 있다.

서울의 일부 학교에서 성적평가 결과가 나빠질 것을 우려해 운동부 학생들이 시험을 보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국회에서도 야당 의원들의 학업성취도 평가 조작에 대한 책임추궁이 이어지며 파문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23일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내 일부 고등학교에서 운동부 학생들이 학업성취도 평가에 출석하지 않거나 출석을 하고도 시험을 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전교조가 확인한 학교는 중앙고 중앙여고 장충고 경신고 명지고 선일여고 숭실고 중동고 충암고 등 중부교육청과 서부교육청 관할 9개 고등학교다.

전교조는 "학교 성적이 떨어지는 것을 염려해 운동부 학생들을 평가에 참여시키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이번 전수조사의 목적이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는 교과부의 주장과 모순되는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교육과학기술위원회는 이날 열린 교과부 업무보고에서 학업성취도 평가 조작 파문에 대해 논란을 벌였다.

안민석 민주당 의원은 "학교 서열화를 위한 이명박 정부식 속도전이 총체적 부실을 초래했다"며 "결과 분석을표집에서 전집으로 급선회하면서도 성적조작 등 예견된 부작용에 대한 아무런 대책이 없었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김영진 의원도 "이명박 정부의 무책임한 밀어붙이기 정책이 빚어낸 결과"라며 "일제고사를 폐지하고 표집방식으로 전환하라"고 요구했다.

반면 조전혁 한나라당 의원은 "학력평가가 과열돼 일선 학교에서 일부 부정이 있었지만 이는 제도적으로 얼마든지 보완할 수 있는 것"이라며 "이번 사태때문에 학력평가 존폐 여부를 얘기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반박했다.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대한 의혹이 계속해서 제기되자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번주 중으로 16개 시"도교육청에 대한 감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교과부는 평가 결과의 입력과 집계 채점 과정에서 ▲고의적인 성적 미달자 누락이나 허위보고가 있었는지 ▲채점 프로그램 사용 오류는 없었는지 ▲성취기준을 제대로 분류했는지 ▲수정보고를 반영했는지 등을 재조사할 방침이다.

또한 올해 하반기 치러질 학업성취도평가에서는 학교별로 채점하는 방식이 바뀔 전망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채점단위를 학교가 아닌 교육청으로 하던지 외부기관에 맡기는 방법, 주관식의 경우 원격 화상 채점 등 좀 더 정교한 방법이 다각적으로 검토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학업성취도평가의 오류를 비판하는 전교조와 일부 학부모단체는 다음달로 예정된 학력 진단평가(초4~중3)도 거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교과부는 진단평가를 거부하고 야외학습을 떠나는 학생을 무단결석 처리하고 평가를 거부한 교사를 사안에 따라 징계하겠다는 방침이다.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