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취재본부 조충현기자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BISTEP, 원장 김영부)이 지역 내 공공기술 기반 창업 현황을 분석하고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한 ‘부산지역 공공기술 기반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를 지난 27일 발간했다.
공공기술 기반 창업은 대학, 연구소 등 공공연구기관에서 연구·개발해 보유한 기술을 기반으로 기술 보유자 또는 기술 출자와 이전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다. 기술 집약형 창업 모델로 국가 R&D 성과를 실질적으로 활용하고 신산업 육성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중요한 창업 유형으로 평가된다.
이번 연구는 공공기술 기반 창업의 중요성과 지역 경제 발전에서의 역할을 조명하고 부산의 공공기술 기반 창업 현황과 인식 특성을 심도 있게 분석해 부산시 정책 방향을 모색했다.
먼저 부산 소재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354개 공공기술 기반 창업기업 수는 2014년 이후 양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를 확인했다. 그중 48.9%는 교원 창업이었으며 전체의 90% 이상이 대학 기술 기반 창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 규모가 영세해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자금 안정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실제로 창업 기업 인식 조사 결과 창업 과정과 창업 이후 모두 자금 확보와 경영 지식 부족이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혔다. 초기 창업 기업은 대부분 자기 자금에 의존(90.9%)하고 있고 투자를 유치한 기업은 전체의 약 22%에 불과해 창업 자금 지원 확대 필요성이 제기됐다. 또 창업가 심층 인터뷰에서는 사업 확장 시 공간 부족, 인재 확보의 어려움, 지원 체계의 미흡함 등이 주요한 고충으로 지적됐다.
이를 종합해 BISTEP 연구진은 공공기술 기반 창업 활성화를 위해 ①창업 접근성 제고와 스타트업 확산 ②초기 창업의 안정성 제고 ③성장기업의 정책 수요 지원 ④공공기술 창업 확산·지자체 주도적 생태계의 확충 등 4단계 정책 방향을 제안했다.
특히 단기적 관점에서 사업화 자금 조달 지원, 창업가 역량 강화·창업 준비 환경 지원 등 기술 보유자의 창업 접근성을 제고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성장 공간 조성, 인재 확보 지원 등 우수한 기술을 가진 창업기업들이 지역에 뿌리내리고 안정적으로 성장해 지역 경제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중점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BISTEP 홍자연 선임연구원은 “공공기술 기반 창업은 지역 경제를 혁신하고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라며 “부산지역 공공기술 기반 창업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인 창업 혁신생태계 확충과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시는 민선 8기 핵심 시책 ‘아시아 창업중심도시’를 목표로 이행 로드맵을 수립하고 창업 생태계 전반을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향후 공공기술 기반 창업 등 고부가가치 창업 활성화가 청년 일자리 창출과 신산업 육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