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1000곳 ‘캠퍼스’로 활용 … 동서대, ‘영화감독형’ 교수 시스템·AAU 아시아 온라인 대학 도입

개교 30주년 기념식서 미래 계획 발표

동서대 뉴밀레니엄관.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황두열 기자] 개교 30주년을 맞은 동서대학교가 100년을 이어나갈 미래형 대학으로의 청사진을 공개했다.

동서대학교 장제국 총장이 6일 오후 4시 교내 뉴밀레니엄관 2층 소향아트홀에서 열리는 개교 30주년 기념식 2030 DSU 비전 발표에서 동서대의 향후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장 총장은 우선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집중에 대응해 저비용 고효율 교육체제로 전환해 ‘영화감독형 교수 시스템’을 전격 도입할 계획이다.

전임교수가 영화감독처럼 코디네이터 역할을 맡아 과목 설계를 하고 필요한 교수요원을 현장 전문가들로 섭외해 팀 티칭을 하는 방법이다.

학교로서는 고정비용을 줄일 수 있고 학생들은 현장감 넘치는 최신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내년 학기부터 우선 공과대학을 위주로 운영할 예정이다.

특성화 분야의 명품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특성화 분야 명품화로 아시아 넘버원을 조기 달성해 국내외 학생들이 찾아오는 대학으로 만들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우수한 외국 유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말레이시아에 온라인 대학인 AAU(Asian Alliance University)를 설립한다는 계획이다.

동서대학교에서 온라인 강의를 송출하고 전 아시아에서 모집된 학생들은 자기 거주지에서 AAU에 접속해 수업을 제공 받는 새로운 형태의 대학이다.

학생들은 2년 동안 온라인 수업으로 학점을 이수한 후 3학년이 되면 동서대로 유학을 와 학위를 취득하게 된다.

끝으로 동서대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3E(Excellence, Everywhere, Engagement) 전략도 추진하기로 했다.

Excellence는 명품화로 특성화 분야를 더욱 발전시켜 아시아 문화콘텐츠 분야 넘버원 대학으로 도약하는 것이다.

Everywhere는 동서대 학생들에게 세상 어디서든 배움의 장을 만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서대는 이를 위해 전 세계에 글로벌체험학습사이트 (GELS·Global Experiential Learning Sites)를 1000곳 이상 개발해 학생들을 파견할 예정이다.

마지막 Engagement는 지역대학으로서 지역사회, 더 나아가 전국과 이웃 도시와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해 학생들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새로운 기회의 장을 열어주겠다는 계획이다.

장제국 총장은 “동서대의 30년은 교직원은 물론 학생, 시민 등 모든 분의 덕분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며 “차별화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지역발전에 공헌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 아시아 문화콘텐츠 분야 넘버원을 이루고 ‘글로벌 명문사학’으로서 세계의 중심에 우뚝 설 것”이라고 말했다.

동서대 30주년 기념식에는 임권택 감독, 장제원 국회의원, 백종헌 국회의원, 잉가 잘레니에네 리투아니아 미콜라스 로메리스 대학교 총장, 홍원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장, 마루야마 코우헤이 주부산일본국총영사관 총영사, 강의구 부산영사단 단장이 참석했다.

영남취재본부 황두열 기자 bsb03296@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영남팀 영남취재본부 황두열 기자 bsb0329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