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AI 기술로 '사용자 맞춤형' 검색 진화 이끈다…‘검색 콜로키움 2022’ 개최

[아시아경제 이승진 기자] 네이버가 3일 열린 ‘네이버 검색 콜로키움 2022’에서 기존 통합검색에서 최신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검색으로 고도화되는 ‘에어서치’로의 변화와 기술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에어서치는 세분화되고 다변화하는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지난 해 10월 선보인 새로운 검색 브랜드다. 에어스, 에이아이템즈, 에어스페이스 등 네이버의 다양한 AI 추천기술을 비롯해 지식베이스, 지식스니펫, 멀티모달 AI 등 검색기술로 사용자들이 AI를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검색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집약돼 있는 ‘스마트블록’을 통해 사용자 검색의도를 세분화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연내 스마트블록 4가지 유형으로 세분화 및 검색결과 30%까지 확대

이날 최재호 서치 CIC의 책임리더는 키노트를 통해 스마트블록 출시 후 성과를 공유했다. 스마트블록은 사용자가 검색어를 막연하게 입력해도, 검색의도와 사용자 취향에 최적화된 주제들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블록 형태로 제시되는 검색 결과다.

최 책임리더는 “스마트블록 일 평균 노출량은 약 2900만건이며, 일간 약 400만회 이상 스마트블록으로 제안되는 콘텐츠를 클릭하고 있다”며 “특히 출시 초기 대비 검색결과 내 콘텐츠 소비량이 약 335% 증가하는 등 사용자들이 기존보다 더 많은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AI가 검색어에 따라 다양한 주제의 블록을 만들기 때문에, 블록이 증가할수록 창작자들의 참여 통로가 더욱 증가할 것”이라며 인플루언서 창작자 콘텐츠가 노출되는 블록도 약 616% 증가하는 등 창작자 생태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네이버는 연내 전체 검색결과의 약 30%까지 스마트블록을 확대하고 △정답형 △탐색형 △반응형 △발견형 등 4가지 유형으로 더욱 세분화하여 약 300만개 이상의 스마트블록을 제공할 예정이다.

글로벌 연구진 필두로 새로운 AI 기술 연구도 활발

이번 행사에서는 현재 연구 중인 새로운 AI 모델 ‘오션’도 소개됐다. 오션은 사용자의 검색 과정에서 불필요한 단계를 줄이고, 최적의 경로를 제안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이다.

김용범 네이버 서치 US의 치프 사이언티스트는 “오션은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직접 모델링해, 상황에 따라 전문화된 어드바이저 역할을 하는 데 필요한 핵심기술”이라며 “해당 기술이 서비스에 적용되면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따라 지도, 쇼핑, 예약 등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똑똑한 어드바이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북유럽 인테리어, 30평 거실 인테리어' 등을 검색하는 경우, 오션에서 학습된 최적의 경로로 ‘자신의 공간사진 촬영’ 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받은 후, 북유럽 인테리어를 위한 콘텐츠와 어울리는 가구배치, 가구 추천 등을 위한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식이다.

이 밖에도 △검색 AI △커머스 AI △미래 AI 등 3개 주제로 진행된 15개의 개별 발표세션에서는 에어서치에 적용된 다양한 AI 기술들에 대한 설명이 이어졌다. 특히 최근 서비스 상용화까지 완료한 멀티모달 AI ‘옴니서치’가 적용된 ‘스마트렌즈’를 비롯해, 초대규모 AI와 3D, AR 기술 등이 적용된 ‘지식인터랙티브’ 등 최신 AI 모델의 개발과정과, 일간 수천만명의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는 네이버만의 기술 노하우도 공유했다.

최재호 네이버 서치 CIC 책임리더는 “올해로 6회를 맞이하며 AI·검색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행사로 자리잡은 콜로키움을 통해 네이버가 연구하는 다양한 기술들을 여러 전문가들과 공유할 수 있어서 뜻깊다”며 “네이버는 올해 에어서치 고도화 일환으로 네이버의 AI 기술을 검색 서비스 전반으로 점진 확대하며, 사용자의 일상 속에서 AI 검색 경험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IT과학부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