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래 영업하는 '클럽'에 음식점 가장한 '헌팅포차'…'꼼수영업'에 시민들 분통

건대 헌팅포차 관련 총 51명 확진
'유흥시설 불법 단속' 1주일 만에 283명 적발
시민들 "불법영업 유흥시설, 대책 필요"

4일 오후 서울 광진구 건대역 인근에 다수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포차 문이 닫혀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허미담 기자] "힘든 건 이해하지만 이제껏 방역수칙 잘 지켜온 이들은 뭐가 됩니까."

국내 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는 가운데 최근 일부 유흥업소가 '꼼수 영업'을 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예컨대 일반 음식점으로 등록해놓고 실제로는 사람들이 춤을 출 수 있는 클럽 형태로 운영하거나 영업이 금지된 새벽 시간대 손님들을 받는 식이다.

이처럼 경찰 단속을 교묘히 피해 변칙 영업을 하는 업주들이 이어지고 있다 보니 이들에 대한 강력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무더기 감염을 일으킨 서울 광진구 소재 '포차끝판왕 건대점'이 방역지침을 어기고 '꼼수 영업'을 한 것으로 드러나 비판 여론이 일고 있다.

해당 업소는 당초 일반음식점으로 등록돼 있었으나, 방역당국에 따르면 실제로는 감성주점·헌팅포차 등 영업이 금지된 유사 유흥시설 형태로 운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손님들은 이곳에서 춤을 추고 2층과 3층 테이블을 오가며 술을 마신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일부 손님은 마스크 착용을 제대로 하지 않거나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치를 지키지 않는 등 방역수칙 또한 어긴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이 업소에서는 지난달 29일 최초 확진자가 나온 이후 4일 기준 총 5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에 서울시는 영업장 내 마스크 착용을 제대로 안내하지 않은 점에 15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일반음식점 내 춤을 추는 행위로 적발된 점에 대해서도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영업정지 2개월 처분을 내리기로 했다.

서울의 한 노래방 앞에 집합 금지 명령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무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일각에서는 이번 헌팅포차 관련 집단감염을 놓고 "제2의 이태원 발(發) 집단감염 사태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공개된 확진자 동선에 따르면 일부 확진자가 또 다른 감성주점·헌팅포차 등을 찾았기 때문이다.

건대입구역 인근에서 거주하는 대학생 김모(27)씨는 "춤추면서 놀 수 있는 주점이 근처에 많다. 특히 주점이라는 특성상 방역수칙이 지켜지지 않을 것 같아 언젠가 이런 일이 생길 것으로 예상했다"며 "집단감염이 우리 지역을 중심으로 계속 이어질까 봐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이처럼 집합금지 명령을 어기고 불법영업을 한 유흥시설은 적지 않다. 지난 1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주(1월 25~31일) 진행된 '무허가 유흥시설 등 불법영업 집중단속'에서 총 283명(43건)이 단속됐다.

앞서 서울 강남구의 한 일반음식점도 지난달 31일 DJ박스와 특수조명, 무대 등을 설치하고 무허가 클럽을 운영하다 적발됐고, 지난달 26일에는 서울 관악구에서 점검을 피해 문을 잠그고 영업한 업주 등 31명이 감염병예방법 위반 혐의로 적발됐다.

이외에도 지난달 16일에는 서울 송파구에서 예약 손님을 대상으로 몰래 영업하던 같은 건물 내 유흥주점 3개 업소의 업주 등 60명이 무더기로 붙잡혔다.

유흥업소의 '꼼수 영업'이 활개 치면서 시민들의 비판 여론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 상황에서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강한 변이 바이러스의 집단 감염까지 이어지자 '4차 대유행'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직장인 김모(28)씨는 "이 시국에 감염 위험이 높다는 것을 알면서도 불법영업을 강행한 이유를 모르겠다. 아무리 경제적으로 힘들다고 해도 다른 자영업자들 모두 참고 코로나19가 잠잠해지길 기다리고 있다"며 "너무 이기적인 것 같다. 지난해 이태원에서 발생한 집단감염 때문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피해를 봤는지 모르나"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어 "변이 바이러스까지 유입돼 모두가 더욱 조심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런 식으로 가다간 확진자가 또 1000명이 넘을 것 같다"고 우려하며 "대유행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불법적으로 영업하는 유흥시설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고, 시민들 개개인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잘 지켜야 한다"고 했다.

방역당국 또한 올봄 4차 대유행이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4일 "3~4월에 유행이 다시 한번 올 수가 있다는 우려가 있다"며 "전문가를 비롯해 방역당국에서도 그런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고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사회적 거리두기와 신속한 역학조사를 통해 방역 확산 고리를 조기에 차단하는 것이 거의 유일한 수단인 상황이고 병상을 확보하는 부분을 (유행 대비의) 커다란 축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슈팀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