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랏돈 덕에 지난해 가구소득·분배지표 모두 개선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지난해 가구당 평균소득 5828만원…전년보다 2.1%↑

지니계수 등 분배지표 2011년 이후 최저 수준

가구당 비소비지출 1098만원으로 6.2%↑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지난해 가구당 평균소득은 5828만원으로 전년대비 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니계수·5분위 배율 등 주요 분배지표는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1년 이후 최저 수준을 보였다. 다만 세금, 연금 등 비소비지출이 6.2% 늘면서 가계가 실질적으로 쓸 수 있는 돈인 가처분가능소득은 1.2% 증가하는데 그쳤다.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의 평균소득(5828만원)은 2016년(5705만원)보다 2.1% 증가했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은 3781만원으로 전년대비 3.9% 증가했으나 사업소득은 1777만원으로 전년과 견줘 5.3% 감소했다. 경기 악화 등으로 자영업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사업소득도 덩달아 준 것으로 해석된다.

분위별로 보면 소득하위20%인 1분위 가구(4.4%)를 비롯한 전체 분위에서 소득이 2016년보다 늘었다. 다만 소득5분위별 소득 구성비를 살펴보면 하위20%계층인 소득 1분위에서는 공적 이전소득(11.4%)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사적 이전소득도 17.6% 증가한 반면 근로소득은 8% 줄었다.공적 이전소득이란 아동수당, 실업급여, 국민연금 등을 의미한다. 1분위 가구의 공적이전소득이 가구소득 대비 39.6%(438만원)에 육박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부 복지 지출 덕분에 1분위 가구 소득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10가구 중 2가구는 가구 소득이 1000~3000만원미만이었다. 1000~3000만원을 벌어들이는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5%로 가장 높았다. 특히 가구주가 30세 미만이거나 60세 이상인 가구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000만원 미만을 버는 가구도 8.6%에 달했으며 1억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가구는 14.8%였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의 경우 연간 1억원 이상 소득을 올리는 가구주 비중이 2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임시 일용근로자는 1000~3000만원 미만에서 높게 나타났다. 자영업자인 가구는 3000~5000만원의 소득을 올리는 가구 비율이 26.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비소비 지출 가운데 세금은 343만원에서 354만원으로 3.3% 늘었다. 지난해 평균임금이 늘어 근로소득세가 증가했고 부동산 가격 상승과 거래 증가로 양도소득세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가구당 비소비지출은 1098만원으로 2017년(1034만원)보다 6.2% 증가했다. 비소비 지출 가운데 공적연금과 사회보험료는 322만원에서 338만원으로 5.0% 증가했고, 부모님에게 드리는 용돈 등을 포함한 가구간 이전지출은 125만원에서 151만원으로 20.4% 급증했다. 전체적인 가계대출이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이자비용도 가구당 평균 179만원에서 194만원으로 8.4% 증가했다. 반면에 비영리단체에 대한 이전지출은 66만원에서 62만원으로 5.6% 감소했다.

이처럼 비소비 지출이 늘면서 가계가 실질적으로 소비하거나 미래를 위해 저축할 수 있는 가처분소득은 더디게 증가했다. 가구 소득에서 비소비 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은 2017년 4671만원에서 지난해 4729만원으로 1.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니계수, 5분위 배율 등 소득분배지표도 개선됐다. 지난해 소득불평등 지표인 지니계수는 0.345로 2017년(0.354)보다 개선됐으며 1분위 가구와 5분위 가구의 소득 격차를 나타내는 5분위배율도 6.54로 1년 전보다(6.96) 축소됐다. 상대적빔곤율도 16.7로 2017년(17.3)보다 개선됐다.

정부 관계자는 "기초연금 인상(20→25만원), 장애인연금 인상(20만6000원→25만원), 주거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등 저소득층에 대한 사회안전망 강화정책 등으로 정부정책에 따른 분배 개선효과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