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내 노후화된 하수도 정비…IoT·ICT기술 접목

시범사업 후 2023년부터 연간 3000억원 투자…25개 전 자치구로 확대 시행 계획

'군자-2 소블럭 하수도정비' 시행 위치(사진=서울시 제공)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서울시가 노후화된 하수도 정비에 나선다.서울시는 광진구 군자동·능동, 성동구 송정동 일대를 대상으로 '군자-2 소블럭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을 2019년 6월까지 수립한다고 10일 밝혔다. 2020년 6월까지는 기본 및 실시설계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번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2023년부터는 연간 3000억원을 투자해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다.기본계획은 정화조 폐쇄, 음식물 쓰레기 직투입, 하수도와 사물인터넷(IoT)·ICT 기술 접목, 하수도 품질 향상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우선 도심악취의 근원으로 꼽히는 정화조를 폐쇄한다. 분뇨가 정화조를 거치지 않고 바로 하수관을 통해 물재생센터로 이동한 뒤 처리되도록 한다. 현재 서울 내 하수도는 총 1만615.7㎞ 길이로 빗물, 생활하수, 분뇨가 하나의 관에 모여 물재생센터에서 처리되는 '합류식'이다. 분뇨의 경우 가정집에 설치된 약 60만 개의 정화조에서 1차 처리 후 하수도관으로 배출돼 도심악취를 발생시키고 있다.음식물 쓰레기를 개수대에 바로 버리더라도 하수관을 통해 물재생센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처럼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봉투에 담아 버리지 않아도 되는 셈이다. 시는 시민들의 편의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쓰레기 봉투값 처리 비용 등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하수도와 IoT·ICT 기술을 접목한다. 비가 많이 내려 평상시보다 하수 처리량이 많이 발생할 때 하수도 계획과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유랑, 수질 계측기로 지역별 하수량과 오염 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면서 정화가 시급한 오수부터 처리한다.하수도 설계 및 시공 기준은 재정립한다. 튼튼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하수도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시는 서울 내 지반 조사 결과와 하수도 주요 재료를 분석해 부식과 충격에도 대응 가능한 하수도 설치·관리 지침도 만들 예정이다.이번 사업을 추진하기 전 시는 시민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토론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6월 16~22일 시민 2803명을 대상으로 한 '서울시 하수도 정책 방향에 대한 온라인 여론조사'를 한 결과 하수도와 관련해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로 '하수도 냄새'(48.1%)가 1위에 올랐다. 이어 '도시 침수'(15.7%), '정화조 청소'(9.8%) 순이었다.한제현 시 물순환안전국장은 "이번 군자동 일대 시범사업이 서울시 하수도의 차세대 정비모델 구축에 시금석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관련업계 및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한다"고 말했다.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