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 충남, 과잉 도시계획 수정·미래 계획 새로 쓴다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충남도가 지역 내 장기적 인구감소에 대비하기 위해 도시계획을 새로 쓴다. 저성장, 인구감소 등 미래 도시계획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고 그간 대형·과잉 형태로 설계됐던 도시계획을 수정하는 등 관련 체제를 재정비한다는 것이다.6일 도에 따르면 지역에선 그간 계획인구를 중심으로 과다 추정된 인구계획이 도시개발 및 기반시설공급 과잉으로 이어지며 예산낭비를 초래했다. 이에 도는 지난 4월 충남연구원에 ‘충남형 도시계획 기준 연구’를 의뢰, 대규모 도시계획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인구감소와 분권형 자치 등 미래 도시계획 패러다임에 대응할 대책 마련에 나섰다.연구용역은 내달 중간보고회를 거쳐 가안(假案)을 마련하고 12월까지 세부안을 확정해 도에 제시하는 순으로 진행된다.도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시·군 도시계획 운영실태 및 국토부 수립지침의 문제점 분석 ▲인구감소, 저성장 시대 도시계획 수립 방안 ▲주민밀착형 생활 인프라 공급 방안 ▲장기미집행시설 해소 및 시설결정 기준 등을 점검할 계획이다.특히 환경계획과 연동된 도시계획 수립 방안과 주민이 참여하는 도시계획 수립 등에 방점을 두고 기존 도시계획과 ‘충남형 도시계획 수립’의 차별성을 확보한다는 복안이다.또 ‘2020 도시기본계획’ 상에서 예상한 도내 인구 352만여명을 통계청이 제시한 217만여명 수준으로 조정, 이에 상응한 개선책을 마련해 반영한다. 이밖에 2020년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일몰제 시행에 따라 도내 전체 도시계획시설 중 20.8%가 해제될 것으로 전망되는 점을 반영, 주민밀착형 생활 인프라에서 벗어난 소외지경을 분석하고 대상 지역에도 생활 인프라가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조치할 예정이다. 정석완 도 국토교통국장은 “충남형 도시계획은 사람 중심의 공간 만들기와 분권과 자립시대에 어울리며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국토공간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충남형 도시기본계획 수립방안을 올 연말까지 완료해 정부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에 제안하겠다”고 말했다.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