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욕탕 본래 기능 없애고 새롭게 탈바꿈
조깅. 사진= 아시아경제 DB
비슷한 대중목욕탕 문화를 가진 한국과 일본. 하지만 최근 대중목욕탕을 찾는 손님들의 발길이 뜸해지면서 두 나라의 목욕탕은 변신 중이다. 일본은 목욕탕의 기본 기능을 어느정도 유지하며 변신을 꾀하는 반면 국내는 업종 자체를 변경하고 있어 비교가 된다. 최근 일본 언론에 따르면 2007년 일본 도쿄마라톤 개최를 기점으로 조깅을 즐기는 일본인들이 많아지면서 도심 곳곳에 로커와 샤워시설을 갖춘 '러너즈 스테이션(runner’s station, 런스테)'이 들어서고 있다. 런스테 이용객이 늘면서 일부 대중목욕탕들도 이 기류에 편승해 '센토란'으로 전환 중이다. 대중목욕탕을 뜻하는 '센토(錢湯)'와 달리기를 뜻하는 '런(run)'이 합쳐진 센토란은 조깅 후 들리는 목욕탕을 말한다. 이용객 감소로 폐업 위기에 처한 일본 목욕탕의 생존 전략 중 하나로 분석된다. 센토란은 런스테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밤늦게까지 운영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 런스테에는 없는 탕과 셀프 빨래방 등을 갖추고 있어 인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도쿄에서는 고쿄(皇居·일왕의 거처) 둘레를 도는 러닝 코스가 인기를 끌면서 주변 대중목욕탕을 찾는 손님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도쿄 지요다(千代田)구에 있는 목욕탕 '반두슈' 이용객의 4분의3이 고쿄 러너였다. 이 목욕탕은 한때 폐업을 생각했을 정도로 손님이 뜸했지만 마라톤 개최를 전후해 이용객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에도강 천변 등 달리기 코스가 풍부한 도쿄 에도가와(江戶川)구의 경우 지난달부터 구내 목욕탕 26곳이 참가하는 센토란을 영업 중이다. 폐업 위기 목욕탕, 복합문화예술 공간되다…유명 브랜드 매장도 입점일본 목욕탕의 경우 기존의 목욕 기능을 대부분 살려 변신을 꾀하는 반면 국내 목욕탕들은 전혀 다른 업종으로 변신해 주목 받는다.
복합예술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 '행화탕' 사진=축제행성 제공
서울 마포구 아현동에 위치한 '행화탕'이 대표적이다. 60년의 역사를 가진 행화탕은 지난 2월 한 문화예술콘텐츠 기획사에 의해 문화·예술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중간에 놓인 벽과 탕의 일부만 뜯어내고 원래 모습을 최대한 유지했다. 행화당에는 젊은 예술가들의 설치미술과 함께 각종 공연이 진행된다. 또 2017년 '문화가 있는 날' 지역특화프로그램으로 선정돼 매달 마지막 수요일마다 행사가 열린다.
유명 안경 브랜드 매장이 된 중앙탕. 사진=젠틀몬스터 제공
50년 된 서울 종로구 계동의 '중앙탕'의 경우 지난해 한 안경 브랜드의 매장으로 바뀌었다. 노출 콘크리트 기법으로 매장을 꾸미는 것으로 유명한 이 브랜드가 중앙탕에 들어서면서 이곳은 해외 관광객들이 찾는 관광명소가 됐다. 전북 군산 근대역사박물관 앞에 위치한 '영화 목욕탕'은 2015년 이당미술관이 됐고, 부산 감천문화마을의 '건강탕'은 목욕탕 콘셉트 카페와 갤러리로 탈바꿈해 관광객들을 끌어 모은다. 그밖에 탭댄스 공연장, 식당 등으로 바뀐 곳도 있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목욕탕 콘셉트의 내부가 과거의 향수를 불러일으켜 사람의 감성을 자극하고, 낡은 건물이 주는 특유의 멋스러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아시아경제 티잼 송윤정 기자 singaso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티잼 송윤정 기자 singaso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