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급(時給) 전쟁, 퇴직자는 갈 곳이 없다

최저임금 인상 나비효과…한해 80만 은퇴자 창업 '제2인생' 막막

지난 17일 한 중년 노동자가 서울 중구 을지로 지하상가에서 폐업세일을 하고 있는 신발 매장 앞을 지나가고 있다(사진: 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김현정 기자] 베이비 부머 세대인 김경훈(58·가명)씨는 최근 다니던 대기업에서 퇴직했다. 그는 고향인 전북으로 내려가 편의점을 운영하면서 노후를 보낼 계획이었지만, 최근 이를 포기했다. 먼저 퇴직한 선배가 편의점을 운영하고 있는데 수익이 좋지 않은 데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적자를 면키 어려울 것 같다는 얘기를 듣고 생각이 달라졌다. 김씨는 “생활비가 적게 드는 고향에서 소규모 편의점을 하면 생계비는 나오겠지 했는데, 이젠 아닌 것 같다”며 “다른 것도 찾아보지만, 사무직을 해 온 탓에 기술도 없어 막막하다”고 토로했다.내년 최저임금 인상을 앞두고, 현재 음식점, 편의점 등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는 물론, 퇴직을 앞둔 예비 퇴직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특별한 기술이 없어 재취업이 어려운 상태에서 그나마 도전해 볼 수 있었던 편의점 등도 만만치 않게 되기 때문이다. 최저임금 인상의 ‘나비효과’인 셈이다. 우리나라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는 712만명 수준이며 이들 중 한 해 80만명 정도가 은퇴하고 있다. 그동안 이들 퇴직자들의 제2의 인생 설계처였던 편의점, 프랜차이즈 음식점이 최저임금 인상 직격탄을 맞게 됐다. 내수 진작과 경기 활성화를 위한 최저임금 인상이라는 특단의 대책이 정책적 실효성을 검증받기도 전에 우려만 높아지고 있다.퇴직금이나 전 재산을 투자하다시피해 편의점이나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낸 점주들은 가뜩이나 어려운 경영난이 더욱 가중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편의점은 퇴직자들의 제2의 인생설계 1호였다. 한국편의점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편의점 점포 수는 3만3300여개로 10년 전인 2017년 1만1056개 대비 3배가량 급증했다. 시장 규모만 작년 말 기준 20조4000억원에 달한다. 특히 시장 성장과 퇴직자 창업 수요가 몰리며 CU, GS25 등 상위 2개사의 점포만 각각 1만1700개를 웃돌며 곳곳에 들어서는 추세다.프랜차이즈 역시 퇴직자들이 선호하는 업종이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 규모는 2016년 기준 100조원을 웃돈다. 1999년 45조원에 불과했지만 해마다 증가해 2008년 77조3000억원, 2013년엔 86조원에 육박했다. 2016년 프랜차이즈 본부 수는 지난해 대비 9.2% 증가한 4268개에 달하고, 브랜드 수는 8.9% 증가한 5226개로 집계됐다. 가맹점 수는 21만8997개다.브랜드 수 중에서는 외식업이 4017개(76.2%), 도소매업이 312개(5.9%), 서비스업이 944개(17.9%)로 외식업 부문 영업표지 비중이 현저히 높았다. 편의점이나 프랜차이즈 가맹점 업주들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종업원들의 근무시간을 줄이거나 감원할 수밖에 없다며 반발하는 분위기다. 최저임금이 오른다고 당장 소비가 살아나지 않는데 종업원들 근무시간 단축이나 감원으로도 여의치 않으면 결국 폐점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주장이다.근로시간 단축이나 감원 등을 하지 않으려면 제품이나 서비스 가격을 인상해야 하지만 이 또한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최근 프렌차이즈 오너 일가의 갑질 등 부적절한 행동으로 가뜩이나 여론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상품 가격부터 올리다가는 여론의 비난과 규제 당국의 제재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맹점주들의 경영 악화는 곧바로 본사의 수익 악화로도 이어진다. 문을 닫는 편의점이나 프랜차이즈 점포가 많아질 경우 가맹점 이탈이 가속화되고, 그 자리를 새로운 가맹점주가 들어와 또다시 손해를 떠안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유통부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