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경.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전력 부문의 시대적 요구가 바뀌면서 전력 설비와 운영시스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과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2015년 12월 체결된 파리기후협약을 계기로 세계 각국이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을 수립했으며, 우리나라 역시 2030년까지 37%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방침이다. 에너지가 4차 산업혁명의 주된 요소로 급부상하는 것 역시 전력 설비의 변화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단가와 전력저장장치(ESS) 초기 투자비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미래 전력 공급은 분산형 전원의 결합을 중심으로 자급자족하는 방식으로 변화될 전망이다. 기존 화석연료 중심의 거대한 발전설비로 전력수요를 충족하던 시대가 지나가고 있는 것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정책연구본부는 이같은 시대적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전력시스템의 변화방향을 연구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전력 부문의 연구과제를 발굴, 산업 변화에 따른 시장제도를 정립하는 데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전력산업의 변화에 대비, 다양한 기술ㆍ에너지 서비스의 수용이 가능한 전력시스템의 변화를 촉진해 미래 먹거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특히 본부는 소비자들이 전력사용 패턴을 변화할 뿐만 아니라, 태양광 발전원의 설치를 통해 전력을 직접 생산하거나 판매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력 시스템 변화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전력시장의 진입장벽과 요금규제, 정보독점화 등의 문제는 청정 에너지원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부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정책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전력 발전원 중에서 신재생에너지원의 비중이 높아지겠지만, 아직은 원자력과 화석연료 발전원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전원(電源)믹스를 포함한 전력수급계획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전원믹스란 전체 전력 생산원 중에서 재생 가능한 에너지와 재생 불가능한 에너지의 비율로, 이 비율을 최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최대 현안 이슈다. 온실가스 감축과 전력공급의 안정성, 전기요금 등 전력산업의 모든 이슈가 전원믹스와 연관되기 때문에 중요성은 그만큼 크다. 특히 올해는 2년마다 수립되는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시기인 만큼 더더욱 전원믹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부는 전원믹스를 포함한 중장기적 전력사업 계획의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발전계획수립의 전산모형인 WASP와 다양한 정책에 대한 전력시장의 효과분석을 다루는 M-Core 등이 그것이다. 또 국내외 전문가 네트워크를 활용해 새 분석모델을 개발하거나 확충하는 데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장기적으로 전력산업을 변화시키려면 다양한 기술요소들을 융ㆍ복합해 전력수급 방식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게 본부의 설명이다. 특히 새로운 사업ㆍ산업을 창출하는 방향의 연구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덧붙였다.이유수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정책연구본부장은 "전력정책연구본부는 미래 에너지 기술과 전력시장의 조화 속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겠다"며 "신기후체제 대응에 따른 전력시스템의 전환에 대비해 적정 전원믹스를 도출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책분석 모델을 운영하는 등 미래 전력 연구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