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 가해자 대다수는 친부모…적발돼도 아이와 계속 살아

서울연구원 인포그래픽스 제225호. 사진제공=서울연구원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서울시 아동학대 실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 가해자 10명 중 8명 이상이 친부모였다. 대부분 아동학대 사건은 부모에 의해 각 가정에서 발생하는데도 피해아동과 부모를 격리시키는 경우는 미미했다.6일 서울연구원이 2015년 아동학대 신고 건수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같은 내용의 제225호 서울인포그래픽스를 발표했다.인포그래픽스를 자세히 보면 총 2325건의 아동학대 신고 중 1179건이 실제 아동학대 사건으로 드러났다. 이중 아동학대 가해자 중 80.7%가 피해아동의 친부모였다. 친부와 친모는 각각 49.4%, 31.3%였다. 보육교사에 의해서도 3.1% 발생했다. 학대장소는 가정이 82.1%로 압도적이었다. 학교와 어린이집은 각각 3.6%, 2.9%에 불과했다.문제는 대부분 아동학대가 가정에서 일어나지만 피해아동은 부모가 있는 가정에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는 점이다. 피해아동 중 68%는 원래의 가정에 의해 보호받았다. 격리됐다가 얼마 안 돼 가정으로 돌아간 경우도 8.1%였다.아동학대 가해자에 대한 조치도 비교적 소극적으로 이뤄졌다. 가해자 지속관찰이 61.6%로 가장 많았고, 고소고발이 31.1%로 뒤를 이었다. 아동과 분리시키는 경우는 4.0%에 불과했다.아동학대 유형은 두 가지 이상 학대가 동시에 이뤄진 중복 학대가 44.8%로 가장 많았다. 신체학대(22.0%), 정서학대(18.5%), 방임(11.7%), 성학대(3.0%) 순이었다.김민영 기자 my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김민영 기자 my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