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대응하는 '지능형 보안', 정부가 손 걷었다

지능형 보안 체계 수립 위해 290억원 배정머신러닝 기반 능동 방어 체계 ·차세대 암호화 등 보안 신기술 개발부처간 및 민관 협력체계 수립 계획

제공=미래창조과학부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정부가 지능정보사회의 점차 다양해지는 사이버위협을 능동적·자동적으로 방어하는 '지능형 보안' 체계 수립 및 연구 개발에 나설 전망이다.정부는 27일 '제8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을 열고 약 290억원의 예산이 책정된 '국가 사이버보안 R&D 추진계획'을 확정했다.정보통신전략위원회는 지난 2014년 5월 정보통신(ICT) 산업 진흥 및 규제개선을 위해 신설된 부처 간 정책조정 및 의결기구다. 국무총리실 소속으로 현재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최양희 미래부장관이 간사를 맡고 있다.먼저 머신 러닝 기반의 능동형 자가 방어 기술이 개발된다. 사이버위협이 지능화 및 다양화되면서 매번 각 위험에 직접 대응하던 체계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이에 따라 시스템의 정상상태를 스스로 학습, 외부 위협을 감지하고 소프트웨어(SW) 상의 보안 취약점을 자동 분석 및 업데이트하는 기술이 개발될 전망이다. 또한 SW난독화, 데이터 훼손 검증 및 복원이 가능한 사이버 자가변이 기술, 다양한 위협정보들을 시각화 분석하고 탐지능력을 높이는 지능형 사이버 자가방어 가시화 기술 등이 개발된다. 정부출연연구소와 기업 중심으로 내년부터 38억원의 예산이 도입될 예정이다.

제공=미래창조과학부

기존 보안 위협을 탐지하는 기술도 더욱 지능화된다. 머신러닝을 통해 유사 사이버 공격을 분석하고 프로파일링하는 기술을 개발하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가 운영하는 사이버위협정보 분석·공유시스템(C-TAS)을 기반으로 해킹 공격 분석정보 공유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정보 유출 가능성을 원천 봉쇄하는 차세대 암호 기술도 마련될 전망이다. 세부 내용으로는 ▲DNA 분석 및 생체인증정보 보호를 위한 동형암호 실용화 기술 개발 ▲양자암호 안전성 실증 및 양자암호통신 시험망 구축 등 양자암호 고도화 기술 ▲양자컴퓨터 기반 암호해독 기술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보안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포스트(Post)-양자 암호 원천 기술 개발 및 실용화 ▲신규 정보통신기술(ICT) 환경 및 국가·공공 도입 암호기술 안전성 고도화를 위한 암호 안전성 분석 자동화 기술 등을 개발 개발 및 실용화 기술 등이 추진될 전망이다. 이 같은 원천 기술뿐만 아니라 사회 현안에 적용할 수 있는 응용 기술도 개발된다. 올 한 해를 휩쓸었던 랜섬웨어 방어 및 차단 기술은 물론 다크웹 정보 수집·분석 기술, 블록체인, 차세대인증 기술 등이 추진될 전망이다. 또한 지능형보안, 핀테크 보안 등에 관련된 스타트업 기업들의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바우처 제도를 시행할 예정이다.

제공=미래창조과학부

주력 융합 산업(사물인터넷, 영상, 스마트카 등)의 안전성을 위한 산업별로 특화된 융합·물리보안 영역도 연구 개발 추진 대상으로 포함됐다.세부 내용으로는 ▲바이오기술기반 복제불가형 인증 ▲클라우드 지능형 영상보안 플랫폼, 모바일 바이오인식 성능시험·인증 기술 등 지능형 물리보안 기술이 있다.한편 이러한 기술 개발을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KISA, 국가보안기술연구소(NSR), 국방부 국방과학연구소(ADD) 등을 주축으로 범부처간 민간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제공=미래창조과학부

부처 간 협력의 일환으로는 미래부, 국정원, 행정자치부, 경찰청 등이 참여하는 '사이버보안 R&D 조정 협의회'가, 민관 협력의 일환으로는 한국 디지털CCTV연구조합,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한국융합보안학회 등이 참여하는 '정보보호 R&D 기술공유 협의체'가 구성된다.그 밖에도 ▲사이버보안 국제 공동연구 확대 ▲정보보호 R&D 수행 기관 간의 기능 중복 피하기 위한 역할 재정립 등의 과제가 추진될 예정이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