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출격…불 붙는 낸드플래시 전쟁 (종합)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SK하이닉스가 2조2000억원을 들여 충북 청주에 최첨단 반도체 공장을 세운다. 급증하는 낸드플래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인 투자 전략이다.  SK하이닉스는 청주 산업단지에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다음달 설계에 착수해 2017년 8월부터 2019년 6월까지 반도체 공장 건물과 클린룸을 건설한다. 신규 공장은 청주 산업단지 테크노폴리스 내 23만4000㎡부지에 들어선다. 재계 관계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50대 리더십'을 기치로 내걸로 사장단 인사을 단행한 다음날 SK하이닉스가 대대적인 투자 계획을 밝힌 것"이라며 "사실상 SK그룹이 낸드플래시에 승부수를 띄운 셈"이라고 말했다. 전날 사장단 인사에서 계열사 사장들이 대폭 물갈이됐지만 박성욱 SK하이닉스 사장은 내년 1월1일자로 부회장 승진이 확정됐다. 이번 투자는 지난해 8월 'M14 준공식'에서 선언했던 중장기 투자계획의 일환이다. 당시 SK하이닉스는 지속적인 업계 리더십 확보를 위해 46조원을 투입해 경기도 이천과 충북 청주에 M14를 포함한 총 3개의 반도체 공장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힌바 있다. 이미 SK하이닉스는 청주에 2008년 준공한 후 꾸준히 생산능력을 확충해 온 낸드플래시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내년부터는 복층 공장인 이천 M14의 위층에서도 3D 낸드플래시 양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SK하이닉스가 낸드플래시 신규 공장을 설립하면서 반도체 업계의 낸드 시장 선점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낸드플래시는 D램과 달리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반도체다.  낸드플래시 메모리는 향후 가장 크게 성장할 것으로 꼽히는 분야로 꼽히고 있다. 스마트폰과 커넥티드카, 사물인터넷(IoT) 등의 수요로 2020년까지 매년 평균 44%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지난 2015년 823억기가바이트(GB)였던 낸드플래시 시장 규모는 오는 2020년에는 5084억GB로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공급은 이에 못 미치고 있다. 주요 업체들이 2D에서 3D 낸드로 생산라인을 전환하는 중이라 공급량이 줄면서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메모리 셀을 수직으로 쌓아 저장용량을 늘리는 3D낸드플래시는 적층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원가는 절감되면서 수익성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업체들은 어느 정도 가격 경쟁력이 있는 36단이나 48단 제품 양산을 늘려나가는 추세다. 삼성전자가 평택 반도체 신공장에서 3D 낸드를 양산할 계획을 세운 것, 도시바가 분사와 감원 등 기업 구조조정 속에서도 공격적으로 공장을 늘리고 있는 것도 '이 경쟁에서 밀리면 안 된다'는 판단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는 선제적 투자 집행의 중요성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 SK그룹에 편입한 직후인 2012년, 전체 반도체 업계의 투자가 축소되는 상황에서도 최태원 SK 회장의 결단에 따라 10% 이상 시설투자를 확대해 이득을 봤다. 박성욱 SK하이닉스 사장은 "청주에 건설되는 신규 반도체 공장은 4차 산업혁명 등 미래를 대비하는 SK하이닉스의 핵심기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 관계자 역시 "미세 공정과 3D 적층 구조 생산 방식 도입으로 단위당 생산량은 늘었지만, 공정이 복잡해진 만큼 필요 장비 숫자와 규모도 늘면서 기존 라인에서 뽑아낼 수 있는 수량에 절대적인 한계치가 있다"며 "청주에 새 공장을 만드는 것은 당연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SK하이닉스는 3D 36단 2세대 제품은 2분기부터 판매를 시작했고, 48단 3세대 제품은 11월 양산에 돌입했다. 또 내년 상반기에는 72단 4세대 제품 개발을 완료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시장조사기관인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3분기 기준 낸드플래시 시장점유율은 삼성전자가 36.6%로 15년 넘게 1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도시바 19.8%, 웨스턴디지털 17.1%, SK하이닉스 10.4% 등이 뒤를 쫓고 있다. 아직까지 삼성이 확고한 1위를 다지고는 있지만 최근에는 경쟁 업체들도 3D 낸드 양산이 가능해지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메모리반도체의 경쟁이 향후 낸드플래시 부문에서 불꽃을 튀길 것"이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 기업들이 메모리반도체의 지배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결국 낸드플래시에서 기술 선점에 성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에 위치한 기존 D램 공장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보완 투자도 나선다. 2006년 준공된 우시공장은 지난 10년간 SK하이닉스 D램 생산의 절반을 담당하는 등 회사 성장에 기여해왔다. 그러나 향후 미세공정 전환에 필요한 공간이 추가 확보되지 않으면 여유 공간이 부족해져 생산량 감소 등 효율 저하가 불가피하다. SK하이닉스는 이와 같은 상황을 보완하기 위해 바로 설계에 나선 후 2017년 7월부터 2019년 4월까지 9500억원을 투입해 클린룸 확장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생산성과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D램 산업 내 리더십도 지속 확보한다는 방침이다.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