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국기.
[아시아경제 노태영 기자]박근혜 대통령의 이번 이란 방문은 '경제'를 위한 '외교'에 방점이 찍혔다. 저성장 고착화 우려에 쌓여 있는 우리 경제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서는 최근 경제 제재에서 풀려난 이란 시장만큼 매력적인 투자처가 없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제2의 중동붐'이 일어날 것이란 기대섞인 전망도 나오고 있지만 정상의 첫 방문인만큼 관건은 '신뢰구축'이다.박 대통령은 다음 달 1∼3일 역대 최대 규모인 236명의 경제사절단과 함께 이란에서 '세일즈 외교'에 나선다. 사절단은 중소ㆍ중견기업 146개사, 대기업 38개사, 경제단체ㆍ공공기관ㆍ병원 등 52개사 등으로 구성됐다. 정부가 대규모 경제사절단을 갖춘 것은 이란 시장의 잠재성 때문이다. 이란은 중동에서 두 번째로 큰 시장이고 원유 매장량이 세계 4위에 달한다. 올해 1월 경제 제재에서 풀려난 뒤 신흥시장으로 급부상해 중국 등 각국이 시장 선점을 위한 외교적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다.이번 이란 방문이 헛되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신뢰를 쌓아야 한다. 한국과 이란은 1962년부터 외교 관계를 유지해 왔다. 1977년에는 양국 우호의 상징으로 서울에 '테헤란로'를, 이란에는 '서울로'를 지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양국 정상 간 회담이나 상호 방문은 한 번도 없었던 것이 현실이다. 이는 이란의 '반미 정서'를 의식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따라서 이번 박 대통령의 방문은 늦었지만 신뢰의 첫 걸음을 떼는 중요한 외교적 의미가 있다.다행히 이란은 우리 기업에 대해 우호적이다. 한국은 경제 제재 기간 서방 기업들의 철수 후에도 현지에서 시장 활동을 계속해 왔다. 한 마디로 모험이었다. 하지만 현재 이란 내 가전시장 점유율이 80%에 달하는 등 이란 국민들은 높은 선호도로 호응했다. 2014년 교역액만 42억달러에 달한다. 외교부 고위관계자는 "서방에 대이란 제재 기간이 10여년 됐는데 그 기간에도 적지 않은 한국 기업이 이란을 떠나지 않고 어려운 기간 다 견뎌냈다"며 "이란 측 정부 관계자들이 고마움을 표하기도 했다"고 말했다.물론 이란이 북한과 오랜 우방인 점은 앞으로 풀어야 할 외교적 과제다. 자칫 경제 교류에 '암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란은 1980∼1988년 이라크와의 전쟁에서 군사적 도움을 줬던 북한과 우호적 관계를 맺고 있다. 하지만 이를 역이용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 속에서 이란을 통해 북한을 압박하는 외교적 '묘수'도 생각해 볼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노태영 기자 factpoet@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노태영 기자 factpoe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