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산 미역 식탁점유율 ‘1위’…올겨울 14만여t 생산

[아시아경제 최경필]

전남 고흥군에서 생산되는 미역이 웰빙식품으로 식탁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보다 15% 정도 생산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 고흥군에서 생산되는 미역이 웰빙식품으로 식탁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보다 15% 정도 생산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25일 고흥군에 따르면 올해 고흥산 미역은 약 2800㏊에 총 5만5000여 줄이 시설돼 지난 2월말 시작된 채취작업이 이달 중순께 완료됐다.올해 총 생산량은 약 14만t으로 지난해의 12만t에 비해 15% 정도 생산량이 증가했고, 생산액은 지난해의 144억원에 비해 18%가 증가한 170억원을 기록했다.2012년 지리적표시 제14호로 등록된 고흥미역은 조류의 소통이 빨라 미역 양식의 최적 조건을 갖춘 거금도 등의 청정 해역에서 자란 최고의 웰빙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완도미역은 60%가 전복먹이용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고흥산 미역은 90% 이상이 소비자 밥상에 올라 전국 식탁용 미역부문 생산량의 37%를 차지하며 식탁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이 같은 성과는 2014년부터 박병종 군수의 공약사업으로 추진돼 온 고흥미역 활성화 정책의 결과로 평가받고 있다.고흥군은 어업인들의 인력난 해소와 작업 효율성 제고를 위해 포자 이양기 보급뿐만 아니라, 미역양식에 필요한 생산기반시설인 친환경 부표, 인공침자, 고밀도 부표 설치 등에 약 6억1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속적으로 미역 활성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또 지난 2009년부터 총 6곳에 50억여원을 지원, 1차 생산에서 2차 가공까지 진행할 수 있는 산지가공시설을 마련해 고흥미역이 지역특화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왔다.고흥군 관계자는 “고흥의 청정 해역은 미역 생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며 “청정해역에서 자라 쫄깃한 맛과 풋풋한 특유의 향으로 바다의 봄나물이라 불리는 고흥미역에 많은 관심과 사랑을 부탁한다”고 말했다.최경필 기자<ⓒ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국팀 박선강 기자 skpark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