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미국의 금리인상 이후 신흥국 간 통화전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향후 국내금리 방향성에 대한 해석이 분분해지고 있다. 현재 경기상황을 고려하면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인하가 예상되지만 한편으로 내년부터 미국 금리인상이 시작되면 한국과 미국간 금리차가 좁아지기 때문에 방향을 가늠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 16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기준금리를 0~0.25%에서 0.25~0.5%로 25bp(1bp=0.01%) 올리기로 결정했다. 이후 미국 달러에 페그된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중동 산유국 및 홍콩이 금리를 인상했다.하지만 대만 중앙은행은 지난 18일 수출회복을 목표로 기준금리를 1.75%에서 1.625%로 12.5bp 인하했다. 일본은행도 이날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매입대상 국채 평균 잔존만기를 기존 7~10년에서 7~12년으로 늘리고 현재 3조엔 규모의 상장지수펀드(ETF) 매입 규모도 3000억엔 늘리기로 결정했다. 중국은 추가적인 통화정책을 펴지는 않았지만 8월 중순 인민은행의 위안화 평가절하 이후 안정적이던 위안화 가치가 이달들어 절하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지난 10월 말 이후 위안달러 환율은 6.3174달러를 최저점으로 2% 이상 상승했다. 이처럼 아시아 주요국들이 모두 통화완화정책에 나서면서 한국은행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단 저물가 탈피, 소비활성화 및 환율절하 등 효과를 고려하면 한은이 내년 상반기 추가 금리인하에 나설 가능성은 있다는 분석이다. 김태현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미국 금리인상 단행 이후 아시아 지역의 환율 절하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수입물가를 높여 인플레이션을 유발해야하는 한은 입장에서 내년도 1분기 중 추가 금리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내년 미국의 금리인상을 감안하면 인상폭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올해 말 현재 1.125%포인트인 한미간 정책금리 격차가 내년 미국 연준 계획대로 미국 금리가 4차례 인상될 경우 0.125%포인트로 좁혀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김수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한미 정책금리차가 내년 상당히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는만큼 여전히 국내 통화정책을 제약할 것으로 보인다"며 "당분간 단기영역 시중금리의 경우 통화정책 기대에 주로 의존해 상승이 제한될 것으로 전망되며 장기금리는 글로벌 금리 영향에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