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하 농협은행장 '자산건전성 강화해 선도은행 도약할 것'

[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NH농협은행이 자산건전성 관리체계 개선으로 건전성 지표가 크게 개선되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농협은행의 2013년말 연체비율은 1.02%에서 지난 6월말 0.71%로 0.31%포인트 감축됐다. 고정이하비율도 1.97%에서 1.65%로 0.32%포인트 줄었다. 김주하 농협은행장은 취임시 부터 선도은행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산건전성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해 왔다. 이를 위해 새로운 제도신설과 시스템 개선, 전문인력양성 등 자산건전성 관리 강화방안을 마련했다. 김 행장은 일정금액 이상 여신지원 기업에 대해서는 매월 1회 이상 기업을 방문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상시방문제도(C/L)'를 실시했다. 또 기업 모니터링 중 리스크 이슈발생시 즉시 방문해 현지 확인하는 '이슈확인제도(C/R)'를 신설했다. 이러한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 업적평가에 반영하는 등 부실징후에 대한 조기대응과 선제적 여신관리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영업점별 예상손실 급증명세 및 부도관리 등 주요정보에 대한 원클릭 서비스가 가능한 '영업점 충당금 관리시스템'을 개선했다. 여신감리기능 강화를 위해 당행 신용공여액 300억원 이상인 기업과 대기업 신용위험 상시평가 'B'등급 기업을 대상으로 본부 감리역을 전담 배치하는 등 상기업 전담관리 체계를 구축했다.단기연체 집중관리를 위해 여신관리단의 관리대상채권을 기존 연체 3개월 이상에서 2개월 이상으로 확대했다. 영업점 및 영업본부 단기연체 채권에 대한 업적평가 배점 확대, 회수실적 메리트 평가 도입 등 단기연체 방지에도 노력하고 있다. 여신담당 정예인력 육성에도 힘을 쏟아 지난해 말 2821명(개인여신 1756명, 중소기업 1010명, 기업여신 55명)에서 오는 2017년까지 5000명 규모로 확대하기 위해 자격취득 및 보수교육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김 행장은 "아무리 좋은 성과를 내더라도 건전성관리가 무너지면 미래를 장담할 수 없다"며 "리스크관리는 해당부서에 국한된 것이 아닌 전 부서, 전 영업점의 일로 인식될 때 좋은 성과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