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 명퇴 늘려 청년 일자리 창출…'교육현장 경력부족은 어쩌나'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정부가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명예 퇴직을 늘려 신규 교원을 충원하겠다는 뜻을 밝히자 현장경험 부족에 따른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왔다.23일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의 '교원명퇴 수요증가에 따른 현안과 대응' 이슈페이퍼에 따르면 2010년 4166명이던 명예퇴직 교원 수가 지난해 9539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총 교원수 대비 명예퇴직률도 1.08%(2010년)에서 2.53%(2014년)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이에 대해 이슈페이퍼를 작성한 김성기 협성대 교양교직학부 교수는 "(명예퇴직 증가는) 교육적으로 큰 손실"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명예퇴직 자격이 되려면 교직경력 20년 이상 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 50대 이상의 교원"이라며 "이들이 갖고 있는 학교생활·교직 노하우가 있는데 (명예퇴직으로) 공백이 생길 경우 학생과 젊은 교사들에게 이로울 것이 없다"고 밝혔다.앞서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지난 20일 충남 천안 한국기술교육대 제2캠퍼스를 방문한 자리에서 '청년 고용절벽 해소 종합 대책'을 조만간 발표하겠다며 "신규교원 충원 등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청년 고용을 늘리겠다"고 밝혔다.하지만 일자리 만들기 정책에만 몰두해 신규 교원 임용만 할 경우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 지도 노하우 전수 등 현장 경험을 가진 교원이 부족해져 교육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이다.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도 지난 9일 이에 대해 "대량 명퇴로 인해 단기간에 상당수의 고경력교사가 교단을 떠날 경우 수업전문성, 생활지도 노하우 등의 멘토-멘티를 통한 전수가 약화될 것"며 "교육부는 교육의 질 저하, 교육재정 악화 등 부정적인 형향을 충분히 고려하라"고 촉구했다.김 교수는 교원들이 교육정책·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교단의 어려움 때문에 명예퇴직을 선택한다며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 교수는 ▲교사의 '학생이해 및 지도연수' 강화 ▲학생전문가 배출 위한 교사 임용체제 구축 ▲명퇴교사의 기간제 교사 채용 억제 ▲교원잡무 개선 등의 방안을 내놓았다. 또 명예퇴직에 관한 전문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