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월 나라살림 22.1조원 적자..세수진도율은 전년比 1.2%p ↑(상보)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올해 4년 연속 세수 결손이 예상되지만 1~4월 세수는 작년보다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법인세, 소득세가 호조를 보이며 세수진도율 1.2%포인트 상승을 견인했다. 기획재정부가 23일 발표한 '6월 월간 재정동향'에 따르면 올해 들어 4월까지 국세수입은 78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조3000억원 증가했다.4월까지 세수진도율은 35.6%로 작년 같은 시점의 34.4%보다 1.2%포인트 상승했다. 세수를 걷는 속도가 지난해보다 빨라졌다는 말이다.세목별로 법인세가 17조9000억원, 소득세가 17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조1000억원이 더 걷혀 호조를 보였다. 반면 부가가치세는 24조5000억원으로 1조1000억원 줄었다. 기재부는 법인의 당기순이익과 취업자 수 및 부동산 거래량 증가 등으로 법인세와 소득세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그러나 이러한 세입 개선 흐름이 향후에도 계속될지는 미지수다. 기재부 관계자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으로 내수가 직격탄을 맞으면서 세수 감소가 불가피하다"며 "다만 7월~12월까지 상황에 따른 부가세확정신고는 내년 1월에 하므로 당장 올해 세수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재정수지 적자폭은 경기활성화를 위한 예산 조기집행에 따라 확대되고 있다.4월까지 총수입은 132조8000억원, 총지출은 141조9000억원으로 통합재정수지는 9조원의 적자를 나타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사회보장성 기금수지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22조1000억원 적자였다.4월 통합재정수지와 관리재정수지 흑자는 각각 7조2000억원, 3조7000억원이었다.4월 말 기준으로 중앙정부 채무는 529조3000억원으로 전달보다 7조7000억원 증가했다.기재부는 4월은 국고채 상환이 없어서 국가채무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이라고 설명했다.올해 주요 관리대상사업 313조3000억원 가운데 5월 말까지 집행액은 147조5000억원으로, 연간계획 대비 47.1% 수준이다.5월 말 국유재산 현액은 942조2000억원으로 전달보다 1조4000억원이 증가했다. 국유재산 관련 수입은 1410억원이다.5월 국유재산 취득액은 4조7856억원, 처분 총액은 3조3397억원으로 취득총액이 1조4459억원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세종=오종탁 기자 tak@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