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게임의 저주’ 시작되나… 경기장 활용 못해 ‘전전긍긍’

인천시, 4600억 들인 주경기장 수익사업 유치 지지부진… 신설 경기장 16곳 운영비만 매년 500억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지난 9월 아시안게임이 치러졌던 인천 서구 아시아드주경기장. 건설 당시 아시아 최대 관람석(6만2818석)이라는 자랑이 요란했지만 지난 3개월 동안 경기장 주변은 썰렁하기만 했다. 아시안게임 이후 이곳에선 단 한 번도 경기가 치러진 적이 없다. 수익시설 유치작업은 지지부진한 가운데 주경기장을 비롯해 신설된 아시안게임 경기장 운영비로만 매년 500억원 넘게 들여야 하는 실정이다.올해 열렸던 거의 유일한 대규모 국제경기였던 인천 아시안게임 경기장의 현황은 제대로 된 사후 활용방안 마련 없이 대형 경기장 건설을 밀어붙일 경우 지역 살림에 두고두고 큰 부담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최근 평창올림픽이 대대적인 투자로 적잖은 우려를 낳고 있는 상황에서 인천 아시안게임 경기장의 현실은 생생한 반면교사가 되고 있다.인천 아시안게임을 위해 건설된 경기장은 서구 주경기장을 비롯해 모두 16곳에 달한다. 하지만 대회가 끝난 지 3개월여 동안 대부분의 신설 경기장에서 이렇다 할 경기가 열린 적은 없다. 4600억원을 들여 지은 주경기장부터 규모에 걸맞는 경기 유치 실적이 전혀 없다. 주경기장은 인천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데다 주변에 다른 시설도 없어 겨울철에 더욱 황량해 보인다. 경기장 건설 당시 인천시와 주민들이 얘기했던 장미빛 전망과는 사뭇 대비되는 모습이다. 경기장 활용 방안 역시 뾰족한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시는 애초에 아시안게임이 끝난 후에도 이들 경기장이 인천의 문화체육 인프라의 중심으로서 전국 규모의 대회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경기장 인근 주민들은 체육시설이 부족한 인천 북부권 시민들에게 휴식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것이라며 경기장 건설을 강력하게 요청했다.  그러나 주경기장 6만2818석 중 가설 관람석 3만여석을 철거하고 영화관, 할인점, 스포츠센터 등 수익시설을 유치를 추진하겠다는 시의 구상은 제대로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 시는 몇몇 대기업 중심으로 주경기장 입점을 타진했지만 접근성이 낮아 어렵다는 답변을 들은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3일 열린 수익시설 유치 사업설명회에서도 반응은 신통치 않았다.전국의 광역시도 중에서 인천은 특히 채무부담이 극심한 곳이라는 점에서 아시안게임 경기장은 지자체 살림에 더욱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당장 경기장 건설을 위해 발행한 지방채를 내년부터 2029년까지 매년 673~1573억원씩 상환해야 한다. 주경기장을 비롯한 신설 경기장 운영비로만 연간 500억원 이상 들어갈 것으로 추산된다.  인천 경기장의 이 같은 상황은 최근 평창올림픽을 둘러싼 우려와 맞물려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강원도는 가뜩이나 재정상태가 좋지 않지만 대규모 경기장 건설을 강행하고 있다. 오히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경기 개최 후유증을 우려해 분산개최를 제안한 상황이다.  신규철 인천사회복지보건연대 사무처장은 “대형경기장 신설에 앞서 반드시 지자체 재정상황이 먼저 고려돼야 한다”면서 “인천아시안게임 역시 문학경기장을 활용할 수 있었지만 무리하게 경기장 신설을 추진했던 게 잘못이었다”고 말했다.  한편 아시안게임 주경기장은 2007년 안상수 전 시장 시절 건설계획이 세워졌다. 당시 정부가 남구 문학경기장을 리모델링해 활용하라고 권고했지만 이를 무시한 채 민간자본을 유치하겠다며 경기장 건설을 강행했다. 이후 새로 취임한 송영길 시장이 민간자본 투자가 저조하다며 주경기장 신축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지역주민들의 거세게 반발해 결국 건설됐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