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그래도 힘든데' 수출업체 미·러·일 3국 악재에 골머리

현대기아차 등 자동차·전자 업체 등 대책마련에 고심[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국내 수출기업들이 미국과 러시아, 일본 등 '3국 악재'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미국 서부 주요 항만에서는 12년 만에 최악의 물류대란이 발생했으며 러시아에서는 국제 유가 폭락으로 인한 금융위기 위험이 확산되고 있다. 또 최근 일본 총선 결과 '아베노믹스'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여 자동차, 전자 등 우리 주력 수출산업에 타격을 받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22일 KOTRA 및 업계에 따르면 국제유가 급락으로 촉발된 러시아발(發) 금융위기 위험이 확산하자 국내 대기업들이 현지 상황에 주목하며 위기대응 모색에 나섰다. 최악의 경우 '러시아 디폴트'까지 거론되는 것은 물론, 향후 러시아뿐 아니라 주변 신흥국까지 위험이 전이될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러시아 진출 기업 대부분이 현지에 생산 공장을 가동하고 있어 수출채산성 악화가 수익성에 직격탄을 줄 수준은 아니지만 러시아 내수시장 침체로 인한 제품 수요 위축은 불가피한 모습이다. 현대ㆍ기아자동차는 올해 1~11월 러시아에서 35만대를 판매해 전년동기 대비 2.6% 감소했다. 쌍용자동차의 경우 러시아 수출이 전체 수출실적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타격이 더 크다. 쌍용차는 올 들어 지난달까지 2만2599대를 러시아에서 판매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27% 줄어든 수준이다. 쌍용차는 올 초 불거진 우크라이나 사태 당시 루블화 가치가 크게 떨어지면서 연초에 세운 목표 판매량을 16만대에서 지난 4월 15만500대로 대폭 줄인 바 있다. 러시아에 반조립(CKD) 방식으로 자동차 부품을 수출하고 있는 한국GM은 올 1~11월 실적이 2만6332대로 전년동기 대비 반토막 났다. 한국GM은 미국 등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해 러시아 수출 물량 감소에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또 미국에서는 LAㆍ롱비치ㆍ시애틀 등 미국 서부 주요 항만노조의 태업으로 대미 수출의 31.1%(금액 기준)를 서부 항만에 의존하는 한국 기업들이 울상을 짓고 있다. 열차를 통한 내륙 배송이 어려워 트럭 운임이 크게 오르고 있고, 물품의 바이어 인도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한국 자동차 부품 업체가 미국으로 보낸 수출화물이 서부항만에서 20여일 이상 지체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특히 KOTRA는 이번 사태로 신선도와 유통기한이 생명인 농수산물과 일부 식품에 가장 큰 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식품 생산을 위해 미국에서 수입하는 대두, 옥수수, 카카오, 축육(소시지 원료) 등 원자재 공급에도 차질이 발생함에 따라 식품업계가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경상남도에서 미국으로 수출한 활어는 폐사해 폐기 처분됐고 가을 이후 수출이 집중된 감귤과 배 수출도 사실상 중단됐다. 아울러 일본 자민당 압승으로 '초엔저 시대'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일본 업체와 경합도가 높은 국내 자동차 등 주력산업에도 빨간 불이 켜졌다. 이미 엔저 영향으로 도요타를 비롯해 닛산ㆍ마쓰다 등 일본 자동차업체들은 지난해부터 꾸준히 수익률이 향상됐고 올해에도 당초보다 연간 이익 전망치를 올려 잡고 있다. 반면 국내 업체는 환율로 인해 수익성이 곤두박질쳤다. 현대차와 기아차 모두 올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8% 정도 감소했다. 특히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우리 수출기업의 매출증가율은 2012년 8.5%에서 지난해 3.9%로 절반 넘게 줄었고 올해 상반기엔 마이너스로 떨어졌다. 씨티그룹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한국이 엔화 약세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고 있다며 일본 기업의 해외 진출과 수출 가격 동향을 고려했을 때 특히 전자업종이 엔저에 취약한 산업이라고 평가했다.업계 관계자는 "미국에서의 물류대란과 일본의 아베노믹스 영향으로 국내 기업들의 수출전선에서 연이은 이상조짐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설상가상으로 러시아 경기 상황이 추가로 악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어 현지 경기 변동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