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지역경제는 금융이 실물을 견인하는 '공급선도형(supply- leading)'에 가깝다는 분석이 나왔다. 은행이 먼저 나서서 돈을 빌려줘야 기업이 사업을 일으키고 가계가 지갑을 열어 경기가 살아난다는 주장이다. 9일 한국금융연구원은 '지역금융과 관계형금융 활성화 방안'이란 보고서에서 "지역 경제는 대출증가율이 시차를 두고 생산증가율로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대출과 생산간의 인과관계 따져본 결과다. 금융연구원은 강원, 충북, 전남, 전북, 경북, 경남 등 대부분의 지방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손상호 연구위원은 "대도시에는 금융과 생산의 상호관계가 불명료하지만 지방에는 지역금융기관의 중개기능이 지역경제의 발전을 견인한다"고 했다. 이같은 주장은 경제학의 '수요추종형'과 '공급선도형' 금융모델에서 비롯됐다. '수요추종형(demand-following)' 모델에서 금융은 실물경제를 수동적으로 반영한다. 반대가 '공급선도형' 모델이다. 은행이 대출을 많이 해야 경제도 살아난다. 손 연구위원은 지역 실물경제가 좋아지고 있어 지역금융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봤다. 지난 10년간 9개 지역 도시 총생산(GRDP) 증가율은 6.9%로 서울특별시와 6개 광역시의 GRDP 증가율(5.9%)을 앞섰다. 새로 문 여는 기업도 지방이 더 많다. 10년간 사업체수 증가율은 대도시에서 달랑 0.7%였다. 반면 지방은 2%대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은행대출은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는 편이다. 이러한 지역금융기관의 취약성은 공급추종형 금융모델인 지역경제 발전의 큰 장애가 된다. 손 연구위원은 "선진국은 전국과 지역으로 금융분업구조가 나뉘어 있어 활발한 지역금융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우리나라 지역금융기관들은 지역밀착경영을 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