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공동저자 '관행' 내세우는 김명수…어디까지 관행?

학생 논문에 교수가 공동저자로 이름 올리는 경우, 없진 않지만…'제1저자'는 극단적인 사례

[아시아경제 이윤주 기자]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의 '연구윤리' 관련 의혹이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져 나오고 있다. 29일에는 급기야 논문 표절 등에 대한 사과와 책임을 촉구하는 제자의 편지가 공개돼 논란이 걷잡을 수 없이 증폭됐다. 김 후보자 측은 논문 관련 의혹이 불거진 초기부터 '관행이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그런 관행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를 넘어 '관행이라고 해도 매우 극단적인 사례'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지도교수와 학생의 '관행', 없지는 않지만"=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학생들은 전공 분야와 교수에 따라 천차만별이긴 하지만, 학생의 논문에 교수가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경우가 없지는 않다고 말한다. 하나의 논문이 '공동저작'이 되는 사례는 1990년대 후반 급증했는데 교수의 연구실적이 국가지원 정책의 평가 기준이 되면서 학술지 등에도 공동저작의 수가 많아졌다.  그러나 그런 경우라 하더라도 교수가 '제1저자'로 올라가는 일은 매우 드물다는 것이 학생들의 지적이다. 서울의 A대학 교육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김모(32)씨는 "교수가 수주해온 프로젝트라는 이유로 이를 수행한 학생들의 논문에 교수들의 '이름 끼워넣기'가 공공연히 벌어지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그럴 때에도 교수는 '제2저자'나 '교신(논문 총괄)저자'로 기재되는 게 일반적이며 교수를 '제1저자'로 하는 일은 관행이라 보기에도 매우 극단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교수-학생의 '공생' 관계가 표출한 극단의 사례= 언론에 편지를 공개한 김 후보자의 제자 이희진씨는 "표절 의혹이 제기된 논문 중 상당수는 함께 수업을 들었거나 같은 연구실 사람들의 논문"이라며 "그때는 '관행'이었기에 서로 모른 척 넘어갔지만 이렇게 전 국민에게 알려진 상황에서 부디 인정하고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달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의 B대학 교육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이모(31)씨는 "교수-학생의 '공생' 관계를 바탕으로 한, 바람직하지 않은 사태의 극단적인 경우"라고 지적했다. 그는 "교수는 연구실적 때문에 학생의 논문을 이용하고, 학생은 학위와 '미래'를 위해 이에 동조할 수밖에 없는 분위기가 없지 않다"면서도 "그러나 교수는 본래 논문을 지도하는 사람인데, (논문에 얼마나 크게 기여했는지 몰라도) 단지 그 이유로 저자에, 그것도 제1저자에 이름을 올리는 건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현직 교사가 많은 교원대 특유의 분위기도 한몫했을 것이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교원대 교육학과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한 학생은 "교원대의 경우 현직 교사들이 '파견' 형태로 재학 중인 경우가 많아 일부 교수들이 그 인력을 개인적으로 '이용'하는 사례가 드물지 않다"고 전했다. 현직 교사들의 경우 학위를 이수하고 나면 학업을 이어가는 경우보다는 학교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아, 일반 학생보다 학업에 대한 압박이 덜하기 때문에 논문 작성 등을 포함한 교수의 여러 개인적인 업무에 동원되는 분위기가 있다는 것이다.  한편 미국·일본 등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공동저작의 개념 자체가 거의 없고 간혹 있더라도 어떤 부분(몇 번째 챕터)에서 제2저자의 도움을 받았는지 구체적으로 명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윤주 기자 sayyunju@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이윤주 기자 sayyunju@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