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절한 금융 大감원, 하반기도 덮칠 듯

"고용시장 회복" 20%뿐…보험·카드는 은행보다 더 부정적경제정책 운용 최우선 과제는 "소비 활성화·일자리 확대"[아시아경제 이장현 기자] 올 하반기에도 금융권의 고된 인력 구조조정 시련이 지속될 전망이다. 지난 상반기 일부 은행과 대형보험사를 중심으로 희망퇴직이 줄을 이었고 신규 채용시장도 얼어붙었지만 하반기에도 수익성 개선여지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1일 아시아경제신문이 금융권 경영전략 관련 임원 2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5%(11명)는 하반기까지 금융권의 고용불안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특히 25%(5명)는 고용불안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우려했다. 단지 20%(4명)만이 하반기 고용시장 회복을 점쳐 금융권의 감원 한파가 해소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하반기 고용불안은 보험과 카드업권에서 상대적으로 더 심화될 전망이다. 금융 권역별 순익전망에서 그나마 은행권이 긍정적 반응을 보인 영향이다. 은행권은 조심스럽게 하반기 순익 전망을 희망적으로 점친 반면 카드와 보험업계는 비슷하거나 조금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다수였다. 은행권 응답자 중 업권의 하반기 순익이 상반기보다 '나아질 것'이라고 본 비율은 42%에 달했고 '악화될 수 있다'는 답은 16%에 그쳤다. 반면 카드업계는 '비슷할 것'이란 답이 50%, '조금 악화될 것'이란 답이 25%였다. 보험업계는 상반기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과 '조금 악화될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50%씩을 차지해 가장 부정적 전망을 내놨다.은행권 전략임원 12명에 기업 및 가계대출 조건 강화 여부를 물었더니 기업과 가계 모두 대출 조건이 완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67%(8명)에 달해 적극적 대출확대 의지를 나타냈다. 금융권이 박근혜 정부 제2기 경제팀에 기대하는 하반기 경제정책 운용의 최우선 과제는 '소비 확대'(60%ㆍ12명)였다. 이어 일자리 확대(20%ㆍ4명)와 부동산 시장 회복(15%ㆍ3명)이 2, 3위를 차지했다. 소비 확대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요구한 것은 부진한 내수가 한국 경제에 발목을 잡고 있다는 인식과 궤를 같이한다.하반기 부동산 가격 전망에 대해서는 현 수준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다수(65%ㆍ13명)를 차지했다. 2기 경제팀을 이끌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후보자가 부동산 규제 완화 카드를 꺼내들었지만 부동산 가격이 완만히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은 30%(6명)에 그쳤다.장기 불황으로 침체된 내수는 은행ㆍ카드ㆍ보험 등 전 금융권이 공통적으로 우려하고 있는 하반기 한국 경제의 제1 위협 요인이다. 여기에는 굳게 닫힌 지갑으로 악화된 경영 환경이 기업 및 자영업자에게 타격을 입혀 금융권 전반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깔려있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러시와 저금리에 따른 가파른 대출 증가가 자칫 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질 수 있어 특히 은행권에서 내수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12명 중 10명)가 매우 높았다.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방향성에 대해서는 동결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65%(13명)로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응답자의 20%(4명)는 기준금리를 인하해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금리 인하를 통해 기업은 자금조달비용을 낮춰 유동성을 확대할 수 있으며 가계는 부채비용을 줄일 수 있다"며 "금리 인하를 통한 내수 진작은 나아가 환율상승으로 이어져 수출도 증대하는 선순환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한편 최근 하락 추세를 벗어나지 못하며 1010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원ㆍ달러 환율이 적정수준 이하인 것으로 금융권은 판단했다. 적정환율에 대해 1040∼1060원 미만을 꼽은 비율이 35%(7명)로 가장 많았고 1060∼1080원 미만은 30%(6명), 1020∼1040원 미만은 25%(5명)였다. 이장현 기자 insid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이장현 기자 insid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