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지사의 트위터도 세월호참사 즈음에 멈춰섰다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지난달 16일 세월호 침몰사고 이후 안산 단원고를 찾아 가족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수원=이영규 기자]김문수 경기도지사(사진)의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세월호 참사가 있던 4월16일 즈음에 멈춰 서 있다. 매일 2~3건의 글을 올렸던 그의 'SNS 사랑'을 생각할 때 꽤 긴 시간 '개점휴업' 상태인 셈이다.  김 지사의 SNS 중단(?)은 세월호 참사 앞에서 그 어떤 말도 유족이나 도민들에게 위안이 될 수 없다는 배려가 숨어 있다는 게 측근들의 설명이다. 도 관계자는 "김 지사는 매일 오후 2시 경기도 안산 초지동 경기도미술관 2층에 있는 경기도 합동대책본부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시간 날때마다 어린 학생들의 영정이 있는 분향소를 찾아 분향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에 사고로 피해를 본 단원고는 경기도 안산에 소재하고 있다. 따라서 도민 안전에 대해 '무한책임'을 가진 김 지사의 마음이 편할 리 없다. 그래서 더욱 SNS를 자제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사고가 난 지난달 16일 김 지사는 곧바로 진도로 내려갔다. 문제는 그 다음에 벌어졌다. 김 지사가 진도 유족들을 만난 뒤 자신의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올린 글이 논란이 되면서 글을 내리기도 했다. 또 해명 글도 올렸다. 내용은 이렇다. "진도 현장에서 이틀간 느낀 참담하고 비통한 제 심정을 짧게 표현한 것입니다. 제 진심과 달리 오해를 초래하게 돼 무척 안타깝습니다. 계속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경기도는 현재 합동대책본부를 통해 학교 집단교육 13개 학교(5476명), 일대일 상담(109명), 유가족 상담(238가구), 찾아가는 의료서비스(36가족) 등 심리지원을 하고 있다. 또 319가구에 총 3억3100만원의 생계비를 지원했다. 피해가정은 1대1 전담공무원 돌봄지원 354팀(1057명)을 동원해 8679건을 지원하고, 도내 31개 건강가정지원센터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도는 법률상담 48건, 무료소송 2건, 전담변호사 지정 2건 등 법률지원도 적극 펼치고 있다.  황정은 도 합동대책본부 대변인은 "유족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심리지원을 비롯해 생계, 법률상담 등 지원이 필요한 유가족이나 도민들은 언제든지 대책본부로 연락하면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