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기업 절반 이상 "ESG 공시 의무, 2028년 이후 적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경제단체 공동조사
"단기간 준비 쉽지않아 충분한 시간 필요"

대기업 절반 이상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시 의무화 시기로 2028년 이후가 적정하다고 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상장사협의회는 최근 자산 2조원 이상 125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ESG 공시제도 관련 의견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대기업 절반 이상 "ESG 공시 의무, 2028년 이후 적정"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AD

ESG 공시 의무화 도입 시기로는 전체 응답 기업의 58.4%가 2028년 이후가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2028년 19.2%, 2029년 13.6%, 2030년 25.6% 등이었다.


오는 2026년 기후 분야부터 국내 상장기업들의 ESG 공시가 의무화된다.


기업들이 원하는 ESG 공시 의무화 방향은 거래소 공시(38.4%), 거래소 공시 후 유예 기간을 두고 사업보고서 내 공시로 전환(29.6%), 자율공시(25.6%) 순이었다.


또 협력업체와 등 가치사슬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간접적 배출을 포함하는 '스코프3' 탄소배출량 공시에는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6.0%)이 공시를 반대한다고 답했다.


유예 기간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40%에 달했으며, 공시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1.6%로 소수였다.


ESG 공시 의무화와 동시에 연결 기준 종속회사까지 포함해 공시하는 방안에도 대부분 기업이 반대했다.


구체적으로는 유예 기간을 둬야 한다는 의견이 59.2%로 가장 많았고, 공시대상에 종속회사 포함 자체에 반대한다는 의견도 33.6%로 적지 않았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회계공시도 수십 년에 걸쳐 시행착오를 거치며 안착해 온 걸 감안하면 더 많은 지표를 공시해야 하는 ESG 공시를 기업들이 단기간에 준비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사례를 참고해 충분한 준비기간과 함께 기업에 부담되는 공시 항목들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예주 기자 dpwngk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