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섬의 스토리텔링 - 퇴계의 사랑, 두향(23)
"요즘 세상에 부인처럼 정절을 지키려는 여인을 만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필부필부라도 혼인하여 짝을 이루면 살아서는 예법으로 서로 따르고 죽어서는 제사로 뜻을 보여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예법은 무너지고 풍속도 탁해져서 죽은 남편이 눈도 채 감기 전에 아내가 새 남편을 고르는 판이니 이런 세상이 어디 있단 말입니까. 심지어 남편을 죽이고 딴 남자에게 시집가는 일도 있다 하니, 여자란 가히 요물이 아니오? 그 요물을 장부가 어찌 만나 혼인을 할 수 있겠습니까?" "가만히 들어보니 총각의 말도 일리가 있는 얘기로군요. 그랬더니요?""과부는 정말 자신과 똑같은 생각을 지닌 남자를 보고는 속이 시원했지요. '정말 그렇지요.' 크게 맞장구를 쳤습니다. 이렇게 말문을 튼 두 사람은 그날 저녁 내내 대화를 나누다가 마침내 잠자리를 같이하게 되었답니다. 그런데 두 사람은 모두 칼을 차고 누웠다 합니다.""흐음." 공서가 미소를 띠며 가벼운 신음소리를 냈다."촛불을 켜놓았는데, 사내는 옷을 벗고 누워서는 바로 잠이 들었습니다. 사실은 잔 것이 아니라 깊이 잠든 채 코를 골았던 것이지요. 그사이에 여인이 자는 사내의 몸을 가만히 들여다보게 되었습니다. 문득 춘심(春心)이 동하여 총각에게로 다가갔습니다. 그때 총각은 크게 놀란 기색으로 벌떡 일어나 칼을 뽑아 들었지요. 그때 여인은 말했습니다. '지금껏 내 맹세가 철석같은 것은 틀림없지만 오늘 당신을 만나고 보니 생각이 달라졌어요. 하늘이 본성을 만들 때는 다 이유가 있는 것인데, 굳이 그것을 억누르기만 하는 것이 어찌 하늘의 뜻이겠습니까. 당신도 외로운 사람이고 나도 외로운 사람이니, 둘 다 마음의 칼을 놓고 함께 사랑하는 것이 천리(天理)가 아닐까 합니다.'""아아." 공서와 두향이 함께 가벼운 탄성을 내질렀다."그 노총각, 결국 소원을 이뤘구려."공서가 웃으며 말했다."그러게나 말입니다." 퇴계도 웃으며 말을 받았다.두향이 아직도 그 이야기에 취한 듯 이렇게 말했다."예의범절을 헌신짝처럼 생각하는 세태도 어리석지만, 지나치게 허식에 얽매어 삶의 깊고 오묘한 의미를 놓치는 일도 못지않게 어리석은 게 아닌가 싶네요. 천하의 도학자 나으리께서 이토록 분방한 이야기를 꺼내실 줄 소녀는 정말 몰랐사옵니다.""허허허. 그러하냐?"퇴계가 웃었다. 그때 공서가 약간 짓궂은 표정이 되어서 말했다."두향아. 너는 낮퇴계 밤토계라는 말을 들어보았느냐?""안동의 토계(兎溪, 토끼계곡)를 사또 나으리께서 개칭을 하여 퇴계(退溪, 은둔의 계곡)라고 한 일은 들었사옵니다만, 거기 어찌 밤낮이 붙어서 서로 바뀌는지는 알 수 없사옵니다.""핫핫. 낮에는 후학에게 가르침을 주시는데 아낌이 없는 분이니 '낮퇴계'이고, 밤에는 토끼처럼 성애(性愛)에도 거리낌이 없으니 '밤토계'로 돌아가느니라.""어머나, 그럴 리가 있겠습니까?"퇴계가 빙그레 웃으면서 말했다."공서의 말이 우스개이기는 하나,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나는 아까 저 과부가 말했듯이 본성을 외면하거나 억압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부부간에 지녀야 할 예절 중에도, 동침(同寢)의 예(禮)는 분방함이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겠느냐?""아, 나으리의 하해와 같은 가르침에 늘 옷깃을 여밉니다."그때 공서가 화제를 바꾸며 말했다."저 미인의 거문고 소리를 좀 듣는 것은 어떻겠습니까?"퇴계가 말했다. "두향의 음률은 참으로 뛰어난 바가 있습니다. 제가 저 거문고 소리를 듣고 금보가(琴譜歌)를 지은 것이 있습니다만. 두향아, 네가 그 시에 맞춰 곡을 붙여 보겠느냐.""알겠사옵니다, 나으리." <계속> ▶이전회차이상국 편집에디터 isomis@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편집에디터 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