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앤비전]세상을 변화시키는 힘, 공유

고재득 성동구청장

서울 성동구청 지하에는 '무지개 장난감 세상'이라는 공간이 있다. 개관한 지 벌써 10년이 돼 가는 이곳엔 5000여개 장난감과 2700여권 아동도서가 구비돼 있다. 아이들 장난감이 한두 푼 하는 것도 아니고 연령별로 가지고 노는 장난감이 달라 때가 되면 바꿔줘야 하는 부모들에겐 장난감 구입이 부담스럽기만 한데 이곳에선 연회비 1만원만 내면 각종 장난감을 함께 이용할 수 있으니 엄마들 사이에 인기가 높다.  한양대학교 탁구 동아리는 인근 사근동 주민센터 다목적실에서 동아리 활동을 한다. 동아리 활동이 없는 날엔 이곳에서 스터디 모임이나 동창회가 열리기도 하고 주민 단체 회의도 진행된다. 탁자나 의자, 빔 프로젝터 이용은 무료다. 공공시설이다 보니 지속적, 안정적으로 쓸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공공시설 중 일정 시간대 활용하지 않은 유휴공간을 개방하면서부터 주민들은 저렴한 사용료만 지불하면 편리한 시간대에 가까운 빈 공간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성동구에만 성동구립도서관 등 18개 시설, 25개 공간이 개방됐다.  장난감을 함께 이용하고 노는 공간을 함께 쓰는 것을 한 단어로 설명한다면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공유(共有, Share)'가 아닐까 한다. 타임지가 '세상을 바꾸는 10대 아이디어' 중 하나로 선정할 만큼 이제는 기존의 '소유 경제'를 넘어선 협력적 소비인 '공유경제'가 떠오르고 있다. 공유는 말 그대로 물건이나 공간, 나아가 재능, 시간, 정보 등 유ㆍ무형 자원들을 함께 나누고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시도 지난해 9월 공유도시를 선언했으며, 최근에는 직접 공유를 체험해 볼 수 있는 '공유위크'를 여는 등 공유문화 확산을 위해 힘쓰고 있다. 서울시의 공유도시 선언 이후 우리 사회에는 점차 작지만 큰 변화들이 나타나고 있다. 면접을 앞 둔 청년 구직자들은 수십만원에 이르는 정장을 사지 않고 누군가의 옷장에 잠자고 있던 옷을 공유해 입는다. 여행객들은 값비싼 숙박료를 치르지 않고도 도시 민박을 통해 개인 주택의 남는 빈방에서 묵을 수 있게 됐다. 차가 없어도 카셰어링으로 언제든지 저렴한 가격에 시내를 오간다. 야간이나 낮 시간대 사용하지 않는 주차장을 서로 공유하여 골칫거리였던 주차문제도 해결해가고 있다.  이처럼 공유는 불필요한 생산과 소비를 줄일 수 있다는 경제적인 효과를 가져오기도 하지만 사람과 사람이 만나 무언가를 함께 나눔으로써 관계를 형성한다는 데 더 큰 의의가 있다. 서두에 예로 든 장난감을 함께 이용하는 엄마들은 처음엔 장난감 구입비를 절약하기 위해 시작했지만, 지금은 또래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들과 육아 정보를 나누고 유대감을 나누는 끈이 된다는 점을 공유의 더 큰 이득으로 꼽는다.  사실 당장 내 옆집에 누가 사는지도 모르는 단절된 도시에서 누군가와 물건이나 공간을 함께 쓴다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공유를 실천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 이용자 간의 '신뢰'이고 이것이 점차 쌓여 진정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삭막했던 도시가 행복하고 따뜻한 공동체로 변화하는 데 큰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어릴 적 시골마을에 살 땐 농번기가 되면 내 집 네 집 할 것 없이 모두가 힘을 모아 서로의 일을 돕는 두레나 품앗이 문화가 있었다. 맛있는 음식을 다 함께 나눠 먹는 정(情)이 넘쳤고 필요한 물건이 있을 땐 망설임 없이 옆집 문을 두드렸다. 우리 사회에 공유의 뿌리가 튼튼히 존재하고 있다는 증거다. 당장 집안을 한 번 둘러보시라.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는 것이 분명히 있다. 책장에 다 읽은 책 한 권, 한 번 입고 옷장에 넣어둔 옷도 좋다.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이나 재능도 좋다. '나'만을 위한 것이 아닌 '모두'를 위한 것이라면 그 가치는 무한대가 될 것이다. 고재득 성동구청장<ⓒ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