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유진 기자]게임 이용자에 대한 실태조사 없이 게임을 질병화하고 전사회적인 문제로 결론짓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이용자 입장에서의 새로운 규제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5일 게임 전시회 '지스타 2013'에서 열린 특별 기획 세미나 ‘창조경제, 문화융성을 위한 문화융합, 게임 e-컬쳐산업에서 그 해답을 찾다’에서 산학연 각 분야 전문가들은 산업 진흥과 규제의 균형을 찾기 위해서는 이용자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가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동규 지스타 특별기획세미나 총괄간사(동아대 교수)는 게임 규제에 대한 논의는 '게임=문화 콘텐츠' 산업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게임을 경험해보지 않은 기성세대들이 게임을 만화와 같은 저급문화로 인식하면서 잘못된 규제들이 생겨난다는 것이다. 게임은 쉽게 만들고 쉽게 돈을 버는 산업이 아니라는 얘기다. 이 교수는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한 방식으로 판매하고 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산업으로 e-컬쳐산업의 재조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게임을 마약, 도박과 같은 수준에서 죄악시 하며 의학적 중독으로 다루는 것은 신중히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교수는 "부모들이 교육이라는 명목하에 소수의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하는 현상을 전 국가적인 문제로 인식해 해석하려는 오류"라며 "게임산업의 재도약을 위해 게임은 더 이상 보호자와 규제자 입장에서가 아닌 이용자 입장에서도 조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법으로 민간 차원의 게임 이용 실태 조사가 제안됐다. 게임 이용자인 청소년과 이들의 보호자인 부모가 게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객관적이고 포괄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국리서치의 김춘석 이사는 "지금까지 게임은 이용자 입장이 아닌 보호자와 규제자 입장에서 이해된 측면이 크다"며 "게임을 둘러싼 문화를 보다 건전하게 조성하고, 게임과 관련한 부정적인 측면을 최소화하기 위한 능동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구본건 단장(영산대 교수)은 “이러한 작업은 1회성에 그쳐선 안되며, 지속적으로 수행되야 할 것"이라며 "관련 자료를 사회 구성원이 공유함으로써, 사회적 컨센서스를 형성하는데 일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동규 교수는 "게임 및 게임 이용자와 관련한 논의에 우리 사회가 올바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게임 이용 실태를 있는 그대로 파악하고, 게임 이용자들의 인식을 그들의 입장과 보호자의 입장에서 동시에 이해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증하는 방법으로 매년 게임 이용 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에 기반하여 게임전문 백서를 발간하여 게임산업에 대한 인식 제고를 수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부산=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